[화재공학] 에너지 방출속도 test(실험)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1:20
본문
Download : 에너지방출속도실험보고서.hwp
실험과제/기타
설명
헵탄연소,화염높이계산,연소시,산소량,유독가스량,측정실험,기타,실험과제
순서
Download : 에너지방출속도실험보고서.hwp( 26 )
■ 헵탄의 연소experiment(실험)
■ 화염의 높이계산experiment(실험)
■ 화염의 높이와 온도차이 측정(測定) experiment(실험)
■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測定) experiment(실험)
experiment(실험)결과 a. 50cm 부분 : 최고 온도 : 600℃ mean(평균) 온도 : 270. 2℃ b. 100cm 부분 : 최고 온도 : 200℃ mean(평균) 온도 : 104.5℃ c. 170cm 부분 : 최고 온도 : 80℃ mean(평균) 온도 : 55.6 ℃ 표1과 experiment(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각각의 높이의 최고온도는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표1의 온도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측정(測定) 처음 을 처음 하고 5분후…(skip)
[화재공학] 에너지 방출속도 test(실험) 보고서
■ 헵탄의 연소test(실험) , ■ 화염의 높이계산test(실험) , ■ 화염의 높이와 온도차이 측정(measurement)test(실험) , ■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measurement)test(실험) , 자료(data)크기 : 384K






■ 헵탄의 연소실험, ■ 화염의 높이계산실험, ■ 화염의 높이와 온도차이 측정실험, ■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실험, FileSize : 384K , [화재공학] 에너지 방출속도 실험보고서기타실험과제 , 헵탄연소 화염높이계산 연소시 산소량 유독가스량 측정실험
다. 그 이유는 팬의 직경이 작고 따라서 화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화염이 직접 온도계에 닿았을 때 온도가 급상승 하는 것입니다. 그래프의 50cm를 보면 온도가 급상승 했다가도 바로 급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측정(測定) 장치를 화염의 상단에 설치하고 experiment(실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연소 시간(분) 산소농도(%) CO농도(ppm) CO2농도(%)Ԧ.86.55.18ԥ.74Ԧ.36.83 Ԥ.69Ձ.36.40ԣ.67՛.09.95ԣ.05շ.73 .30ԣ.25ձ.45 .19ԣ.71զ.73.96.5Ԧ.40Ջ.00.45 가스의 생성량과 산소의 감소정도를 측정(測定) 해본 결과 위 그래프와 표와 같이 나왔습니다. 연소시 산소량과 유독가스량 측정(測定) experiment(실험) 연소할 때 발생하는 CO와 CO2의 양을 측정(測定) 해보고 산소가 감소하는 양을 측정(測定) 하여 피난불능 상태(Incapacitation)을 계산해보았습니다. 만약 팬의 직경이 더 크고 화염이 흔들리지 않고 온도계에 계속해서 닿았다면 최고온도는 800℃까지 올라갔을 것이며 표1의 수치와 매우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화염이 오랜 시간 닿질 못하자 온도가 떨어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