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06:05
본문
Download :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hwp
실선은 관측치에 의한 것이고, 점선은 추정치에 의한 곡선이다. Basmann외 3인 (1990)에 수록된 자료(資料)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SEVEN은 평등한 소득분포를 SUNEVEN은 불평등한 소득을 의미한다.
순서
(9)
로렌츠 곡선에 대한 定義(정이)는 Gastwirth (1971)이나 Kakwani(1973)에 잘 설명(說明)되어 있다 로렌츠 곡선의 定義(정이)식
(10)
을 부분적분하면,
(11)
그런데
을 이용하여, 소득점유함수의 平均(평균)은
(12)
로 표시된다
따라서 지니계수가 주어지면, 소득점유함수의 1계 적분값을 구할 수 있다 우리는 엔트로피극대화 방식으로 소득점유함수를 구하면, 위 (7)식에서
(13)
우리는 a를 소거하기 위하여, 소득점유율의 합계는 1이 된다는 조건을 이용하였다.설명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이상에서 단 한가지 지니계수만을 이용하여 분포함수를 구하여도…(To be continued )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hwp( 68 )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 , 소득분포함수와소득불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다. 또 실제 자료(資料)에 위 방법을 적용하여 보기 위하여, 미국의 CPS 자료(資料)를 이용하여 로렌츠 곡선을 구하여 보았다. 위 (12)식과 (13)식에서 지니값이 주어지면 b값을 구할 수 있다 이론(理論)적인 유도는 어렵지만, 수리적인 방법(numerical method)을 이용하면 쉽게 b를 구할 수 있다 또 주어진 지니값에 대하여 하나의 b값 만이 대응되며, 주어진 b값에 대하여도, 하나의 지니값이 대응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유항근 (2000)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위 방법의 정당성을 보여주고자 두가지 극단적인 경우를 설정하여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