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의 표본(을사오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2 10:19
본문
Download : 친일파의 표본(을사오적).hwp
1898년 의政府의 참찬, 찬정 (贊政)을 거쳐 농상공부대신으로 승진되었고, 1899년에는 법부 농상공부 대신을 겸임했다.
1905년 8월에 군부대신, 이어 9월에는 농…(省略)
다. 1894년 한성부윤, 1895년에 내각총서 (內閣總書), 1896년에는 법부협판 (法部協辦), 이듬해에는 농상공부 협판을 역임하였다. 1888년에는 조정의(定義) 명을 받고 Japan을 직접 견학하고 각종 문물을 시찰하고 귀국하였다
1891년부터 주일공사로 동경에 재임중, 오스트리아와 수호통상, 항해 등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였다... , 친일파의 표본(을사오적)기타레포트 ,
설명
충청북도 영동출신. 일찍부터 日本(일본)어를 습득하여 日本(일본)정계의 사정에 정통하였는데, 이러한 능력이 인정되어 1883년 부산 감리서 서기관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1904년 육군부장 (陸軍副將)으로 임명되어, 당시 노일전쟁중인 Japan군의 위문사 (慰問使)가 되어 요양(遼陽), 여순(旅順)을 순방하였다...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Download : 친일파의 표본(을사오적).hwp( 94 )
친일파의 표본(을사오적)
충청북도 영동출신. 일찍부터 Japan어를 습득하여 Japan정계의 사정에 정통하였는데, 이러한 능력이 인정되어 1883년 부산 감리서 서기관에 임명되었다.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충청북도 영동출신. 일찍부터 일본어를 습득하여 일본정계의 사정에 정통하였는데, 이러한 능력이 인정되어 1883년 부산 감리서 서기관에 임명되었다. 그 공로로 Japan에서 훈일등 서보장 (勳一等 瑞寶章)을 받고, 다시 훈일등 팔괘장(勳一等 八卦章)을 받았다.
이어 같은해 칙명으로 다시 Japan으로 건너가서 육군 대연습을 참관하였으며, 또한 고종의 황제위호(皇帝位號)상소자의 한 사람이 되어 그 공로로 정2품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