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한 일 소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2 07:05
본문
Download :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한 일 소고.hwp
이쯤에서 본 논자가 박제가가 지은 다른 여러 저서 중에서 하필 백동수와 이덕무와 함께 왕명을 받들어 편찬한 『무통지』라는 다소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글을 풀어나가려고 하는가에 관해 해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한 일 소고.hwp( 19 )
『무예도보통지』는(이하 『무통지』) 1790년 정조의 명에 의해 규장각의 검서관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의 초관 백동수가 한·중·일 삼국서적 145종을 참고하여 편찬한 종합무예서이다.2005학년도3학년동서양고전과제물 ,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한 일 소고인문사회레포트 ,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한 일 소고
설명
순서
2005학년도3학년동서양고전Task 물
,인문사회,레포트
동서양고전 Task 물 관련 자료(資料)로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관련되어 연구하였습니다.
박제가는 흔히들 알고 있듯이, 조선후기 이용후생학파라 명명되는 실학자이다. 조선의 성리학이 원시유교의 본질을 잃어버리고 탁상공론적으로 흐르게 되고, 부패와 타락이 극심해지자 이에 대한 반성의 물결이 유학자들 사이에 퍼지게 된다 특히 선조 때에 발생한 전란은 유학의 아르케(Archê), 즉 실재…(skip)





동서양고전 과제물 관련 자료로 무예도보통지의 실학적 기풍에 대해서 연구하였습니다.
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history적 대 혼란기를 거친 조선은 기존에 전해져 오던 『무예제보』(선조 3년, 1598)와 『무예신보』(영조 35년, 1759)를 수정보완하고, 더불어 중국(China)이 왜적의 침입을 방어·격퇴하기 위해 편찬한 척계광의 『기효신서』(1565)와 모원의『무비지』(1621)를 근간으로 하여 편찬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