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9 03:08
본문
Download :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시사점.hwp
이러한 급격한 금융권간의 자금이동으로 증가율이 크게 어긋나게 된 통화지표들은 시중의 자금수급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되었다.
,인문사회,레포트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시사점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를 중간목표(goal)로 채택하고 EC방식에 의해 총통화의 연간목표(goal)증가율을 설정 관리하여 오다가, 1997년 들어 M2 및 MCT의 복수 중간목표(goal)제로 이행하였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IMF와의 협의에 따라 M3를 중간목표(goal)로 유지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금융시장이 불안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고금리를 추구하거나 또는 제도alteration(변화) 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안전성을 선호함으로써 금융권간의 급격한 자금이동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국제기준에 맞는 …(省略)
Download :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시사점.hwp( 83 )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를 중간목표로 채택하고 EC방식에 의해 총통화의 연간목표증가율을 설정 관리하여 오다가, 1997년 들어 ...
설명
순서
우리나라는 1979년 이후 총통화(M2)를 중간목표로 채택하고 EC방식에 의해 총통화의 연간목표증가율을 설정 관리하여 오다가, 1997년 들어 ... ,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시사점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와 같이 통화량 목표(goal)제의 유용성이 떨어짐에 따라 단기금리 수준을 목표(goal)로 관리하는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현행 통화지표의 편제방식은 금융자산 중심 편제방식이 아닌 금융기관중심 편제방식을 따르고 있어 시장 유동성 수준을 정확히 반영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M1 및 M2는 비은행 금융기관의 유사상품을 포함하지 않고, M3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는 장기금융상품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