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0 15:34
본문
Download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hwp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
레포트/인문사회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
Download : 198090년대 한국의 시대 정치 상황과 철학계의 추이.hwp( 16 )
6·25 전란 직후 1953년 10월 1일에 창립된 ‘한국철학회’는 철학자들 모임 가운데 최초의 것은 아니나, 창립 이후 그 활동의 수준과 규모의 면에서 명실상부 한국의 철학계를 대표하는 기관이라 할 만하다. 그후 매년 발간되다 1995년 가을 호(제44집)부터는 계간으로 발간될 만큼 면모를 갖추었다. 제1집부터 제50집(1997년 봄호)에 이르기까지 전문적 철학 논문만 총 447편이 실려 있는데, 1979년(제13집)까지는 70편, 1980년(제14집)이후에 377편으로, 1980/90년대에 와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그 가운데 독일철학 분야는 1979년까지 19(/70)편, 그 이후 86(/377)편, 그러니까 총105(/447)편으로 칸트관련 4 + 27…(drop)
다. 현재 900여명을 헤아리는 회원 수, 그리고 전국적인 고른 분포의 면에서도 최대의 철학자 모임인 ‘한국철학회’는 산하에 10여 개의 분야별 소학회 조직을 또한 가지고 있는데, 회원의 연령층이 두텁고 회원 간의 유대감이 느슨하다보니 단체 행동은 다소 느리고 소학회에 비해 비교적 보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 학회의 기관지 『철학』은 1955년 창간되어 57년에 제2집이 발간된 후 10년 넘게 단절되었다가 1969년에 비로소 제3집이 속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