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7 09:10
본문
Download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hwp
‘조선 사람은 조선어로 글을 써…(drop)
3. 창작 시기






설명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순서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1. 들어가는 말
다.
Download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hwp( 61 )
서평감상/서평
,서평,서평감상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1. 들어가는 말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서평서평감상 ,
서포 김만중의 <구 운 몽>
1. 들어가는 말
몽자류 소설의 대표적인 소설 서포 김만중의 九雲夢(구운몽)에 대해 전체적인 것들을 개괄적으로 알아보겠다. 1687년에 평북 先天(선천)으로 유배 당했다가 풀려난 지 3개월 뒤인 1689년 다시 경남 南海(남해)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56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2. 지은이
金萬重(김만중) 1637~1692 (56세)조선 후기 문신, 소설가, 본관 光山(광산), 아명 船生(선생), 자 重叔(중숙), 호 西浦(서포), 시호 文孝(문효). 金長生(김장생)의 증손, 충렬공 益謙(익겸)의 유복자, 숙종의 장인인 광성부원군 萬基(만기)의 아우, 숙종대왕의 초비인 인경왕후의 숙부, 해평 윤씨부인의 아들.
14세에 진사 초시에 합격, 16세에 진사에 장원 급제, 29세에 정시문과에 급제, 1666년에 正言(정언), 1667년에 持平(지평), 修撰(수찬), 1668년에 經書(경서) 校正言(교정언), 校理(교리), 1671년에 암행어사로 副校理(부교리), 1674년까지 獻納(헌납), 副修撰(부수찬), 校理(교리) 등을 지냈고, 1675년 同副承旨(동부승지)로 있을 때 관직을 박탈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