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7 23:27
본문
Download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hwp
셋째로 다섯 개 보군 대장군 호칭에 ‘天’자가 포함된 사실로 이는 천명을 받은 태조의 명에 따라 적자인 신검의 반군을 토벌하기 위해 출정한 지휘관들에게 부여된 임시적이고 상징적인 직함일 것으로 판단된다
태조대 경군의 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대 무관들의 직제를 살펴봄이 좋을 것이다. 두 번째로 보군부대의 명칭들은 오직 태조19년(936)년 신검 토벌전에 관한 기록에만 보이고 있다아 이것은 특별한 출병이나 작전이 있을 때에 한해 임시적으로 부여되는 직함이었음을 암시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훨씬 더 고급의 부대였을 마군부대가 명칭이 없었다는 것은 보군부대의 명칭이 제도적인 것이 아니라 임시적인 것이었음을 시사한다.한국중세사-경군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
한국중세사-경군
Download : 고려의 군사조직 - 경군.hwp( 90 )
태조대의 경군과 2군 6위제의 성립 및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상대하여 작성했습니다.
설명
(2) 태조대 경군의 편제
태조대의 경군은 별도의 명칭이 없는 세 개의 마군부대와 특정 명칭을 가지는 다섯 개의 보군부대들로 편제되었던 것으로 상정되어 왔다. 그러나 경군의 편제를 그같이 상정하는 데에는 문제가되는점 들이 있다아
첫째로 명칭이 보군부대에만 있고 마군부대에 없었다는 점이다. 당대의 연대기에는 마군장군과 마군대장군의 구체적인 예와 해군장군·내군장군 등의 장수들의 예가 확인된다 마군·보군·해군은 전투를 …(省略)
태조대의 경군과 2군 6위제의 성립 및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