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임대차 보호법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3 08:23
본문
Download : 주택 임대차 보호법 해설.hwp
1) 주택임대차의 존속기간
------------------(1) 약정한 경우
가. 최단기간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한 경우에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법 제4조참조)
(3) 계약의 갱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 만료전 6월부터 1월까지의 임차인에 대하여 갱신 거
절의 통지, 또는 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
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만…(To be continued )
(1) 대항력의 의미
수 있다 즉 임대차계약의 성립으로 발생되는 권리관계를 제3자에게 주
레포트/인문사회
1) 주택임대차의 존속기간------------------ (1) 약정한 경우 가. 최단기간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한... , 주택 임대차 보호법 해설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주택임대차의 존속기간
Download : 주택 임대차 보호법 해설.hwp( 89 )
,인문사회,레포트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한...
가. 최단기간
순서






------------------
(1) 약정한 경우
주택 임대차 보호법 해설
다. 기간을 2년
이상으로 정한 경우에는 그 기간을 임대차 기간으로 본다. 그러나 이조항
자체가 임차인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되었으므로 임차인에게 불리하
지 않은 2년 미만의 계약은 유효하다고 해석하여도 무리가 없다고 본다.
(법 제10조의 반대 해석)
나. 최장기간
본 법에는 최장기에 관하여는 제한이 없으므로 민법 제651조를 적용하여20년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계약을 체결할 수있으며, 20년이 넘는 경우
는 20년으로 단축 된다
(2) 약정이 없는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주택의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