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8 22:17
본문
Download :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hwp
J.라깡, J.데리다 등의 후기구조주의자들에 의해서 정석화된 ‘떠 다니는 능기’의 concept(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네오맑시즘-구조주의 ,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설명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에 대해 조사한 資料입니다. 마찬가지로, 현 사회의 모순들은 경제라는 ‘소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무관한 ‘능기’들만의 관계로 정석화된다…(To be continued )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네오맑시즘 - 구조주의적 관점.hwp( 36 )
,경영경제,레포트
다. 사전찾기와 같이, 끝없이 능기들 사이에서 떠다닐 뿐이다. 이들 후기구조주의자들에 의하면 능기(signifiant)와 소기(signifie)는 아무런 연관관계도 없다.네오맑시즘-구조주의






L.알뛰세 theory 의 ‘약한 고리’는 첫째, 중층결정이라는 안전막에도 불구하고 최종심급으로서의 경제영역과 둘째, ‘그렇다면 누가 혁명을 일으키는가’라는 문제로 요점될 수 있따 물론, 이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바는 아닐테지만, 포스트맑시즘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시사하고 있따
첫 번째 문제, 각 심급들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최종심급으로서의 경제를 놓아둔 것은 고전 맑시즘적 ‘고집’으로 비칠 수 있따 하부구조에 의한 상부구조의 결정론을 배격했음에도, 맑시즘이 맑시즘일 수 있게 한 것은 결국 ‘자본주의 분석’이라는 경제적 요인에 있기 때문일것이다 김형효, p.475-476 참조
라클라우-무페는 이 ‘최종심급’마저 해체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