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가요(古代歌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30 01:07
본문
Download : 고대 가요(古代歌謠).hwp
공경도하(공경도하) : 그대는 기어이 물을 건너도다. 이 경우의 ‘물’, 즉 저 임이 건너지 말아야 할 물은 충만한 깊이 곧, ‘공’으로 표현된 ‘사랑’을 의미한다. ‘공경도하’에서 ‘경’과 결합되는 ‘하’는 사랑의 종말을 뜻함과 동시에 임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경우의 물은 사랑을 뜻한다기보다 물 위에 깔려 있는 임의 환상이요, 물 속에 잠겨 있는 임의 추억이다. 여기서는 ‘물에 떨어지다’로 풀이하지 말 것
이(이) : 순접(순접)의 접속사
나-하(내-하) : -을/를 어찌하는가. -을/를 어찌할 것인가
나공하(내공하) : (돌아가신) 임을 어찌할 것인가. (돌아가신) 임을 어찌할꼬
공무도하(공무도하) : 그대는 물을 건너지 말라. 이 노래의 첫 구절인 ‘공무도하’는 곧 사랑하는 남편이 황급히 물 속으로 뛰어들려는 순간을 노래하였다.
[시어, 시구 풀이]
공(공) : 여기서는 남편. 곧 백수광부를 이르는 말. 그대. 당신. 임
무(무) : 여기서는 금지사(금지사)로서 ‘물’의 뜻. -하지 말라
경(경) : 마침내. 기어코. 드디어. 그예
타하(타하) : 물에 휩쓸리다.
타하이사(타하이사) : 물…(skip)
고대가요개관[1] , 고대 가요(古代歌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고대가요개관[1]
Download : 고대 가요(古代歌謠).hwp( 60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고대 가요(古代歌謠)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