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한국 지배계층 변화-사림 정치의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13:33
본문
Download : 1234.ppt
4.광해군 이후 시기
한국 지배계층 변화-사림 정치의 성격
Download : 1234.ppt( 56 )
1.사림에 관련되어
양반들이 누가 더 사림다운 사림인가를 경쟁하는 가운데 당파가 형성되었고 당시의 정치가 전개되었기 때문에 사림이 성종대 이후 등장한 새로운 성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림정치 시기로 이해한다.(남효온, 김굉필 등은 개국공신의 후손, 중소지주가 얼마만큼의 토지를 소유한자들인지도 분명치 않다 )
사화는 당초 일으킨 훈척 세력에서 난으로 규정한 것으로 당한 쪽의 사림 측은 올바른 인물들이 죄 없이 당한 화라고 주장하여 ‘사림의 화’라는 표현을 씀 정치적으로 우세해진 선조 대부터 사화라는 표현이 직접사용
성종대 대간을 대다수는 이미 그 이전에 중앙의 요직에 진출했던 가문 출신
무오(연산군), 갑자(연산군), 기묘(중종), 을사(명종)
사림의 정치 시기 : 연산군에서 (1494~1506) 병자호란(1636)의 시기
2. 4대 사화
이상적인 유교정치인 왕도정치를 내세우면서 개혁을 요구하는 사림
다.
조광조를 비롯한 기묘사화의 1차 희생자 여덟 명 가운데 여섯 명이 서울 사람 나머지는 충청도 출신
사림
이보다 설득력을 지닌 명분이 없는 한 당쟁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
명분 : 임금과 신하는 백성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
순서





주로 사림 세력의 정계 장악을 저지시킨 정치적 사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선조대의 붕당정치
한국 지배계층 변화-사림 정치의 성격
부국강병의 현실주의 노선을 지키면서 기득권을 지키려는 훈신과 척신
[인문] 한국 지배계층 변화-사림 정치의 성격
지조 : 사림은 권력에 연연하지 않는 지조 있는 선비를 의미
양반을 지칭하는 용어
설명
사화 - ‘사림의 화’
모든 양반이 자신들만이 양반다운 양반임을 주장하고 나선 것
중소지주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