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3 00:52
본문
Download :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hwp
감상문, 실크로드, 약탈, 유럽
그러나 그의 가장 큰 업적(혹은 만행)은 돈황 석굴의 존재를 서양에 알린 것일 것이다.
Download :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hwp( 65 )
[감상문]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
설명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에 관한 감상문data(資料)입니다. 그는 당시 최고의 유물 사냥꾼이었던 이슬람 아훈의 정체가 모조범이었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여러 도시들을 발굴했다. 그는 헤딘의 여행기를 통해 많은 힌트를 얻었으며, 이를 직접 확인하여 놀랄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3. 스벤 헤딘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작가는 오렐 스타인의 돈황 약탈 사건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그곳의 china인 지킴이 왕도사를 china인의 대명사처럼 묘사하고 있다 또한 스타인이 약탈한 수많은 고문서들의 해석과 보존 과정을 제법 자세하게 모여주며 이렇게 말한다. (china 측 뿐 아니라, 유럽인들도 헤딘이 독일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1, 2차 대전에서 독일 편에 선 것 역시 이것의 연장선으로 파악된다. 그는 롭 노르의 비밀을 밝혀냈고, 실크로드 번영기 최대의 도시 중 하나인 누란을 발굴했다.)
작가가 예찬한 정도까지인지는 의문이 있지만, 헤딘은 훌륭한 탐험가였다.
순서





“실크로드의 악마들”에 나타난 서양인의 문명관에 관한 감상문자료입니다.
보라, 그는 잊혀진 보물을 인류에게 돌려주었다.
헤딘은 고고학적인 목적보다는 지리학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 지역을 탐사하였다. 그는 이곳의 첫 번째 발굴(약탈)자이며, 가장 많은 문서를 발굴(약탈)한 유럽인이기도 하다. 이는 책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지만, 그의 주요 목적이 베를린과 북경 사이의 항로를 개척하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며, 이로 인해 독일을 위한 첩보가 주목적이 아니었는가 하는 의심을 받기도 한다.
헤딘이 지리학적인 목적(혹은 첩보 활동)으로 중앙아시아를 탐사한 것과 달리, 스타인은 극히 고고학적인 목적(혹은 도굴을 위해)으로 중앙아시아를 탐사하였다. 또한 이 잊혀진 도시들이 전설에 나오는 것처럼 한 순간에 멸망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복합적인 여러 이유로 사람들이 살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
4. 오렐 스타인
그의 이런 눈부신 성과들을 통해 유럽 각국과 日本(일본)의 발굴단이 몰려들기 시작하였으며, 바야흐로 중앙아시아는 열강들의 약탈지가 되어버렸다고 평가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