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학]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7 03:09
본문
Download :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ppt
또한 황색으로 되엇을 때는 황달을 의심하며 눈의 충혈은 열성 전염병, 심장질한, 폐질환 등에서 온다.
소의 주요질병 및 예방대책
나. 외부증상 observe 요령
가. 임상observe 요점
- 축산은 과거의 영세적 부업형태에서 전업농 형태로 전환되고 있고 사 육형태도 집단화되어 밀집사육으로 질병에 의한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구제역등 악성전염병으로 인해 질병으로 인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예방위주의 질병관리를 소흘히 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1. 질병 observe 요령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965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B6%95%EC%82%B0%ED%95%99%5D%20%EC%86%8C%EC%9D%98%20%EC%A3%BC%EC%9A%94%EC%A7%88%EB%B3%91%EA%B3%BC%20%EC%98%88%EB%B0%A9%EB%8C%80%EC%B1%85-9652_01.gif)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965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B6%95%EC%82%B0%ED%95%99%5D%20%EC%86%8C%EC%9D%98%20%EC%A3%BC%EC%9A%94%EC%A7%88%EB%B3%91%EA%B3%BC%20%EC%98%88%EB%B0%A9%EB%8C%80%EC%B1%85-9652_02_.gif)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965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B6%95%EC%82%B0%ED%95%99%5D%20%EC%86%8C%EC%9D%98%20%EC%A3%BC%EC%9A%94%EC%A7%88%EB%B3%91%EA%B3%BC%20%EC%98%88%EB%B0%A9%EB%8C%80%EC%B1%85-9652_03_.gif)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965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B6%95%EC%82%B0%ED%95%99%5D%20%EC%86%8C%EC%9D%98%20%EC%A3%BC%EC%9A%94%EC%A7%88%EB%B3%91%EA%B3%BC%20%EC%98%88%EB%B0%A9%EB%8C%80%EC%B1%85-9652_04_.gif)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965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4/%5B%EC%B6%95%EC%82%B0%ED%95%99%5D%20%EC%86%8C%EC%9D%98%20%EC%A3%BC%EC%9A%94%EC%A7%88%EB%B3%91%EA%B3%BC%20%EC%98%88%EB%B0%A9%EB%8C%80%EC%B1%85-9652_05_.gif)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 행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침울한 상태, 기운이 없고 활기가 없는 눈초리, 움직이기를 싫어하는 소, 같은 무리와 어울리지 않고 홀로 있는 소, 누운채 기립이 곤란하거나 게속해서 서서있는 소 등은 일단 체내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2 ) 눈모양의 alteration(변화)
설명
- 소의 생리기능을 숙지하고 습성을 이해하여야 하며 애착심을 갖고 소에 접근하여 세밀히 동작을 observe해야 한다. 각막이 혼탁하면 핑크아이, IBR, 악성카탈열등이 의심되고 안구 함몰은 탈수, 허탈시의 주증상이다.
Download :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ppt( 89 )
제1절 소 질병의 위생관리
레포트 > 의학계열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순서
[축산학] [축산학]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소의 주요질병과 예방대책
다. (1) 원기
- 건강한 소의 눈은 티없이 맑고 서늘해 보이며 안구와 눈꺼풀이 탄력성이 있다 눈점막이 창백하면 영양불량상태를 의미하며 빈혈, 백혈병, 내부기생충, 중독증일때도 창백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