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상례 관련 내용 종합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4 11:48
본문
Download : 유교 상례 관련 내용 정리.hwp
또한 모두 발을 벗고 신을 신지 않는다.
13) 대상(大祥)
4) 조석전(朝夕奠)과 상식(上食)
14) 담제(?祭)
- 49재
“해동 대한민국 __도 __군 __면 __리 학생(대신 벼슬이름) ___공(公) 복, 복, 복”
순서
1) 초종(初終)
복(復)이라고 라며 초혼(招魂)이라고도 하는데, 죽은 사람의 흐트러진 혼(魂)을 불러 돌아오게 한다는 뜻으로 남상(男喪)일 때는 남자가 두루마기, 저고리를 갖고, 여상일 때는 여자가 죽은 사람의 속적삼을 가지고 지붕으로 올라가 옷깃을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옷의 허리 부분을 잡아 북쪽을 향해 옷을 휘두르면서 크게 길 게 고인의 이름을 부른다. 사망에서부터 49재까지, 상례에 관련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이와 같이 자손들이 상제(喪制)의 모습을 갖추고 초상난 것을 밖에 알리는 것을 발상이라고 한다.
(8).발상(發喪)
6) 분상 (奔喪)
11) 치상(治喪)뒤의 인사
7) 치장 (治葬)
9) 졸곡(卒哭)
복을 부를 때에는 상주들은 잠시 곡(哭)을 멈추고, 그다음 복의(復衣)를 가지고 내려와 시신에 덮고 남녀가 모두 곡을 한다.
설명
사망에서부터 49재까지, 상례에 관련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다루었습니다.
8) 우제(虞祭)
Download : 유교 상례 관련 내용 정리.hwp( 72 )
(6) 고복(皐復)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12) 소상(小祥)
(7) 사자밥
3) 성복제(成服祭)
“해동 대한민국 __도 __군 __면 __리 __부인 _씨 (관직 없으면 유인 孺人 _씨) 복, 복, 복” 그냥 ‘복, 복, 복’만 하기도 한다.
고복이 끝나면 자손들은 모두 머리를 풀고 곡을 하며 옷을 갈아입는데, 남자는 심의 (深衣)를 입고 섶을 여미지 않으며 여자는 흰 옷으로 갈아입는다.
다. 임종한 사람을 데리러 온 저승사자를 대접함으로써 편하게 모셔 가라는 뜻. 나중에 사자밥은 먹지 않고 버리며 신은 태우고 돈은 상비에 쓴다.
10) 부제(?祭)
유교에서 상례에 관련된 내용들을 절차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유교에서 상례에 관련된 내용들을 절차에 따라 종합적으로 요점한 자료(資料)입니다.
5) 조상(弔喪)
2) 습(襲)과 염(殮)
유교 상례 관련 내용 종합 요점
유교, 상례, 제사
밥 세 그릇과 술 석잔, 백지 한 권, 명태 세 마리, 짚신 세 켤레, 약간의 동전을 채반위에 받쳐 뜰 아래나 대문 밖에 차려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