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4:17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hwp
산파는 산모의 아이를 받는 사람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에게 비치는 지성의 빛이 온갖 사물을 보이게 하므로 우리가 진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홀로 필연적이고 불변하며 영원한 존재인 신의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교사와 학생 간의 문답을 통해 알고 있는 지식을 회상하여 지식의 회복(상기)을 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산파는 산모가 덜 고통스럽게 쉽게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교사론』에서 이성적 인식을 ‘지성적인 빛’이라는 말로 표현하면서 조명설을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태어날 때, 그 전에 수없이 많은 육체를 거쳐서 알게 된 지식을 잠시 잊고 태어날 뿐 원래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산파의 역할을 교사에 비유하여 교육을 說明(설명) 했습니다.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썩어 없어지지만 영혼은 사라지지 않고 다른 육체로 가서 태어나는 영혼불멸설과 일맥상통합니다. 태양이 조명 없이는 자연 사물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것처럼 지성적인 빛의 조명 없이는 진리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신은 인간을 가르치는 유일한 스승이며 마음속…(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hwp( 22 )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 ,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 비평문
사회과학,서양교육사,비평문,산파론,조명설,비평문,인문사회,레포트
다. 교사는 학생이 공부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일 뿐입니다. 또한 학생은 이미 모든 지식을 알고 있는데 태어나면서 잠시 잊어버린 것이기 때문에 지식을 암기, 주입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지성적인 빛은 신에게서 오는 것입니다.
![[사회과학]%20[서양교육사%20비평문]%20산파론,%20조명설에%20대한%20비평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84%9C%EC%96%91%EA%B5%90%EC%9C%A1%EC%82%AC%20%EB%B9%84%ED%8F%89%EB%AC%B8%5D%20%EC%82%B0%ED%8C%8C%EB%A1%A0,%20%EC%A1%B0%EB%AA%85%EC%84%A4%EC%97%90%20%EB%8C%80%ED%95%9C%20%EB%B9%84%ED%8F%89%EB%AC%B8_hwp_01.gif)
![[사회과학]%20[서양교육사%20비평문]%20산파론,%20조명설에%20대한%20비평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84%9C%EC%96%91%EA%B5%90%EC%9C%A1%EC%82%AC%20%EB%B9%84%ED%8F%89%EB%AC%B8%5D%20%EC%82%B0%ED%8C%8C%EB%A1%A0,%20%EC%A1%B0%EB%AA%85%EC%84%A4%EC%97%90%20%EB%8C%80%ED%95%9C%20%EB%B9%84%ED%8F%89%EB%AC%B8_hwp_02.gif)
![[사회과학]%20[서양교육사%20비평문]%20산파론,%20조명설에%20대한%20비평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C%84%9C%EC%96%91%EA%B5%90%EC%9C%A1%EC%82%AC%20%EB%B9%84%ED%8F%89%EB%AC%B8%5D%20%EC%82%B0%ED%8C%8C%EB%A1%A0,%20%EC%A1%B0%EB%AA%85%EC%84%A4%EC%97%90%20%EB%8C%80%ED%95%9C%20%EB%B9%84%ED%8F%89%EB%AC%B8_hwp_03.gif)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
순서
설명
[사회과학]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
<교육철학과 교육사 - 서양교육사 비평문>
산파론, 조명설에 대한 비평문
그리스 시대의 소크라테스는 윤회론을 믿었습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억지로 주입시킬 필요가 없다고 여겼습니다. 윤회론은 육체를 영혼을 가두는 감옥으로 여깁니다. 결국, 공부는 교사가 아닌 학생 스스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산파는 어디까지나 도움을 주는 조력자일 뿐 산모 대신 아이를 낳을 수는 없습니다.
이와 비슷한 교육법을 말한 사람이 중세시대의 아우구스티누스입니다. 이를 교육에 비유하면 산파는 교사, 산모는 학생, 출산은 공부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