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폐쇄의 요건과 effect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6:43
본문
Download : 직장폐쇄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연구.hwp
I. 들어가며
1. 의의
2. 논점
II. 법적 근거
1. 논점
2. 학설
III. 종류
1. 시기상 구분
2. 목적상 구분
3. 규모상 구분
IV. 요건
1. 실질적 요건
2. 형식적 요건
V. 效果
1. 임금지급의무의 면제
2. 민·형사면책
3. 쟁의행위의 정당성과 직장폐쇄
4. 쟁의행위 참가여부와 직장폐쇄
또 위의 학설에서도 면책성 근로계약의 효력 및 정당성을 인정하는 범위 등에서 여러 의견이 대립된다
생각건대 직장폐쇄는 쟁의권 보장의 이념을 전제로 형평의 견지에서 근로자 측이 쟁의권을 남용하는 데 대한 대항수단으로 사용자 측에게 주어지는 권리라고 보아 쟁의권남용방어설이 가장 무난한 견해라고 본다. 특히 최근 들어 정당성이 없는 쟁의행위에 대하여 직장폐쇄가 가능한지에 대상으로하여도 논란이 있으므로 이에 대상으로하여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II. 종류
1. 시기상 구분
①노동조합이 쟁의행위를 행하기 전에 이에 앞서 행하는 직장폐쇄를 ‘선제적 직장폐쇄’라고 하며, ②노동조합이 쟁의행위를 행한 후에 이에 대항하여 행하는 직장폐쇄를 ‘대항적 직장폐쇄’라고 한다.
직장폐쇄의 요건과 effect에 관한 연구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직장폐쇄의요건과effect에관한법적연구
Download : 직장폐쇄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연구.hwp( 94 )
레포트/법학행정
헌법상 단체행동권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직장폐쇄라는 쟁의행위가 인정되고 있는 법적 근거와 직장폐쇄의 정당성 요건 및 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본다.직장폐쇄의요건과효과에관한법적연구 , 직장폐쇄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다. 특히 최근 들어 정당성이 없는 쟁의행위에 대하여 직장폐쇄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노조법46는 대항적 직장폐쇄만을 인정하고 있다아
2. 목적상 구분
양당사자간의 주장이 불일치하는 경우 ①적극적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행하는 직장폐쇄를 ‘공격적 직장폐쇄’라고 하고, ②노동조합의 주장에 반대하거나 쟁의행위로부터 소극적으로 사용자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행하는 직장폐쇄를 ‘방어적 직장폐…(省略)
헌법상 단체행동권이 부여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직장폐쇄라는 쟁의행위가 인정되고 있는 법적 근거와 직장폐쇄의 정당성 요건 및 effect에 대상으로하여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