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국가 형성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0:01
본문
Download : 초기국가 형성론.hwp
즉 과도기의 과도기를 다시 상정한 셈이다. 그는 부족국가를 완전한 계급사회인 귀족국가의 시초적 단계로 파악함으로써 계급관계를 중시했는데, 이는 뒷날 원시공동체에서 고대국가로 전환할 때…(To be continued )
초기국가 형성론
설명
초기국가형성론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초기국가 형성론초기국가형성론 , 초기국가 형성론인문사회레포트 ,






초기국가 형성론
,인문사회,레포트
다. 둘째는 백남운이 제기한 부족국가를 두 단계로 세분하여 부족연맹을 설정한 점이다. 첫째는 백남운이 고조선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사실상 이를 원시공동체 단계로 설정한 데 반하여 손진태는 부족국가 나아가 부족연맹으로까지 발전한다고 인식한 점이다. 이는 고조선이나 부여 등을 그보다 한층 미발달한 삼한과 같은 단계로 취급할 수 없음을 인식한 데서 말미암은 것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손진태의 부족국가나 부족연맹에 대한 관념은 1950, 60년대 계승자들의 그것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손진태에 의해 비록 부족국가의 테두리에서 다루어지기는 했으나, 부족연맹은 이후 계승자들에 의해 수용되어 점차 하나의 독자적인 단계로 정착되어 갔다.
손진태의 견해는 두 가지 면에서 백남운과 사뭇 다르다. 왕조사나 지배층 위주의 역사(歷史)서술을 배격하고 민족을 중심에 둔 역사(歷史)서술을 주창한 손진태(손진태) 는 『조선민족사개론』에서 “씨족이 통합된 것이 부족이며, 이 부족이 가일보 통합된 것이 부족국가이며, 부족국가 중 몇이 강력한 연맹체를 이룬 것이 초기 왕국의 발생상태”라고 하여 부족 통합에 의한 부족국가의 누층적 결합으로 부족연맹이 출현한다고 상정했다.
Download : 초기국가 형성론.hwp( 41 )
1. 들어가며
2. 부족국가론의 설정과 논란
3. 부족국가론의 정착과 한계
4. 성읍국가론의 출현과 발전
5. Chiefdom론 수용의 시도
6. Chiefdom론을 둘러싼 논란
7. 초기국가 논쟁의 방향
3. 부족국가론의 정착과 한계
부족국가론은 해방 이후 남한 학계에서 계승되었다. 이로써 사실상 부족 → 부족국가 → 부족연맹이라는 부족국가론의 도식이 잡혀진 셈이다. 그는 “엄격히 말하면 고조선, 부여, 초기의 고구려는 벌써 소부족국가가 아니요 부족연맹적인 왕국이었으므로 이것을 부족국가로 간주하여 부족국가 시대 편에서 취급하는 것은 불합리한 면이 있으나 부족연맹 초기왕국 시대를 따로 둔다는 것은 기술상 상당히 복잡함과 곤란을 초래할 것이며, 또 그것은 왕위세습적 귀족국가에의 과도기적 국가형태”라고 하여 다시 부족국가에서 왕국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