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미국의 대북정책, 그 原因 경과 展望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1:16
본문
Download : 실패한 미국의 대북정책, 그 원인 경과 전망에 대하여.hwp
레포트/인문사회
언론이 밝힌 바에 따르면 금창리 굴착공사는 1989년에 스타트되었다. 1998년 12월 8일 남(한국) 국방부 북한정보본부는 북(조선)의 주요 군사관련 지하시설은 8천2백36개소이며 총연장은 5백47km에 이르며, 최근에 주요 군수공장 1백80개를 지하공장으로 건설했다고 밝혔다. 이것은 1개 군마다 mean or average(평균) 40여개의 지하시설이 빽빽하게 들어있는 셈이다. 지난 9년동안 계속된 금창리 굴착공사의 규모는 40만평방m라고 추정하고 있는...
순서
언론이 밝힌 바에 따르면 금창리 굴착공사는 1989년에 처음 되었다. 『워싱턴 포스트』 1998년 7월 29일자는 미 의회 산하 ‘미국에 대한 미사일 위협 조사위원회’(위원장 도널드 럼스펠드 전 국방장관)의 비밀보고서를 인용하여, “북(조선)은 지하시설을 건설하는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따 실제로 직경 50피트, 깊이 200피트의 공간을 하루에 파낼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는 등 고도의 굴착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년동안 계속된 금창리 굴착공사의 규모는 40만평방m라고 추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축구장 20여개를 합해놓은 넓이에 비길 수 있따 지난 9년 동안 미국의 첩보위성은 이 굴착공사현장을 지속적으로 감시해왔다고 볼 수 있따 그런데도 워싱턴의 강경파는 이 굴착공사현장을 1998년 어느 시점에 와서 처음 발견한 것처럼 말하고 있따 외부에서 금창리 굴착공사를 의심하고 있는 구체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남(한국)의 한 일간지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여 “지하시설의 규모가 다른 시설에 비해 매우 거대하다는 점, 대규모 저수시설(댐)과 배수구, 환풍시설이 건설되고 있다는 점, 대규모 송전시설이 건설되고 있는 점, 엄중한 경비와 보안시설이 갖춰진 점”이 의혹을 사고 있다고 하면서, “금창리의 산악지대에서 진행되고 있는 굴착공사는 크기도 문제지만 냉각수 공급을 위한 댐과 송선시설 등 핵시설 설치를 위한 인프라들이 건설되고 있는 점이 문제”라고 한 관계자의 말을 인용·보도했다. 지난 9년동안 계속된 금창리 굴착공사의 규모는 40만평방m라고 추정하고 있는... , 실패한 미국의 대북정책, 그 원인 경과 전망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실패한 미국의 대북정책, 그 원인 경과 전망에 대하여.hwp( 61 )
,인문사회,레포트






다. 日本 의 NHK방송은 1998년 12월 8일 日本 방위청 소식통을 인용…(생략(省略))
설명
실패한 미국의 대북정책, 그 原因 경과 展望에 대하여
언론이 밝힌 바에 따르면 금창리 굴착공사는 1989년에 시작되었다.
세상에 알려진대로, 북(조선)의 군사시설과 군수공업시설은 대부분 지하에 건설되어 있다는 사실은 상식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