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하 의 서사 구조와 화자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11:24
본문
Download : 태평천하 의 서사 구조와 화자 성격.hwp
방금 창식이 윤주사의 둘째첩 옥화가 계동 큰댁에 들렀다가 며느리뻘 되는 뒤채의 두 새댁과 말말 끝에, 집에는 얼굴도 들여놓지 않은 종수를, 아까 낮에 우미관 앞에서 만났다는 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그 시각과 거진 같은 시각입니다.
를 용하여 장면을 전환시키고 있어서 시공간의 이동에 따른 소설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밑줄-필자,163쪽)
처럼 시간적 상황을 특별히 알려줌으로써 시공간의 이동에 대한 자신의 의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윤직원을 비롯한 그의 가족들 전부가 더 이상의 구제 여지가 없을 정도로 타락해 있음을 드러낼 수 있었고, 부정의(定義) 시대에 대한 풍자의 묘를 얻을 수 있었다 하겠다. 서술시간의 흐름에 비해 이야기시간이 거의 멈춰버린 상태에 있는 이러한 부분은 윤직원 집안의 부정적인 모습을 누적시켜 보여주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식인 셈이다.(밑줄-필자,138쪽)
역시 같은 날 밤이요, 아홉시가 한 5분 가량 지나섭니다.
근대적 사실주의 소설에서는 어색해지기 쉬운 이러한 방식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채만식이 사전에 영화적인 장면 이동을 소설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세심하게 배려를 해두었기 때문이다 소설의 화자 화자의 성격에 대상으로하여는 다음 장에서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To be continued )






Download : 태평천하 의 서사 구조와 화자 성격.hwp( 64 )
춘심에 대한 윤직원의 추태와 그의 증손자인 경손이 윤직원 몰래 춘심을 빼돌리는 광경, 그와 같은 시간에 아버지(윤창식)의 둘째 첩 옥화와 마주친... , 태평천하 의 서사 구조와 화자 성격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춘심에 대한 윤직원의 추태와 그의 증손자인 경손이 윤직원 몰래 춘심을 빼돌리는 광경, 그와 같은 시간에 아버지(윤창식)의 둘째 첩 옥화와 마주친...
태평천하 의 서사 구조와 화자 성격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다.
채만식은,
[경손이]구두를 신노라니까 등 뒤에서 마루의 괘종이 아홉시를 칩니다.(밑줄-필자,145~146쪽)
동대문 밖 창식이 윤주사의 큰첩네 사랑, 여기도 역시 같은 그날밤 같은 시각, 아홉시 가량 해섭니다.
춘심에 대한 윤직원의 추태와 그의 증손자인 경손이 윤직원 몰래 춘심을 빼돌리는 광경, 그와 같은 시간에 아버지(윤창식)의 둘째 첩 옥화와 마주친 윤종수의 모습은 이들 집안 남자들의 도덕적 불감증을 잘 말해주고 있다 더구나 같은 시간에 집안이 어떻게 되어가는지도 상관 않은 채 마작에만 몰두하고 있는 윤창식의 모습은, 윤직원을 비롯한 이 집안 4대가 모두 더 이상 구제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부정적 인물임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