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7 07:38
본문
Download : 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창.hwp
이시기의 대표적인 교회 건축물은 명동성당이다. 이 시기의 스테인드글라스 양식은 중세 고딕 건축구조 속에 통일과 조화를 이루며 장식적 문양과 성서의 내용, 성인, 또는 교리적 내용을 담은 장식적이고 사실적 표현양식을 보여준다. 명동성당은 초기 고딕 양식을 순수하게 보여주는 한국의 고딕 건축을 대표하는 가장 뛰어난 건축물로 알려져 있다
건축에 있어 窓은 건축의 안과 밖을 연결하며 빛을 유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창의 기능적인 차원을 예술적인 차원으로 이끌어 낸 것이 바로 스테인드글라스이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색유리 창과 빛의 결합을 통해 건축 공간에서 빛과 색채의 예술로 독특한 매력을 보여주고 있다
명동성당에 사용된 窓은 그 모양에 따라 원형, 사각형의 일반적인 형태를 비롯하여 첨두형의 뾰족아치 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窓은 대부분이 스테인드글라스를 목재 틀에 끼운 것과 벽돌 틀에 끼운 형식으로 전자는 소형의 원형 및 사각형 창을 이루고 후자는 성당 내부의 주요 채광창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채광면적 확대를 위한 세부 디테일이 다양하게 사용…(skip)
순서






다.
1898년에 완성된 명동 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는 현재 남아 있는 한국 최초의 것으로 자리 잡게 되며 수용 시기의 스테인드글라스 양식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시간에 따라 change(변화)하는 빛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색유리를 통해 통과, 반사, 굴절하여 건축 공간을 다채롭고 화려한 색광으로 채운다. 또한 한국 가톨릭교회 스테인드글라스 수용은 곧 한국의 스테인드글라스 수용을 의미하게 된다된다.
수용 이후 대중화, 토착화되지 못하고 교회 건축에 초보적 수준에서 종종 이용되다가 1970년대 서양화가 이남규에 의해 본격적으로 개척되기 처음 한다.
이는 독특한 매체인 빛과 색유리의 예술적 잠재력과 특성(特性)을 살리고 건축공간과 융합되어 독특한 예술로 보여준다.논문1
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창
대학원 졸업논문으로 교수님들께 준비가 잘되었다고 칭찬받은 논문입니다
,예체능,레포트
대학원 졸업논문으로 교수님들께 준비가 잘되었다고 칭찬받은 논문입니다논문1 , 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창예체능레포트 ,
레포트/예체능
설명
Download : 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창.hwp( 81 )
目 次
그림목차 ⅲ
Ⅰ. 序 論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Ⅱ. STAINED GLASS의 definition 과 시대적 배경 4
1. 스테인드글라스의 definition 4
2. 스테인드글라스가 나타나게 된 역사(歷史)적 배경 6
Ⅲ. 한국 가톨릭교회의 STAINED GLASS 양식 change(변화) 13
1. 한국 가톨릭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수용시기(1882~1910년) 14
2. 일제강점기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시기(1910~1962) 15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시기(1962~1990년대) 18
Ⅳ. 명동성당의 연혁과 STAINED GLASS 23
1. 건립 배경 23
1) 명동성당의 역사(歷史)적 배경 23
2) 명동성당 터 잡기 25
3) 한국 종교 미술과 순교정신의 寶庫 29
2. 명동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 31
Ⅴ. 명동성당에 쓰인 STAINED GLASS의 기법과 양식 34
1. 스테인드글라스에 쓰인 재료 및 제작방법 34
1) 색유리의 특성(特性)과 종류 34
2) 케임(Came)의 기능과 종류 36
3) 제작방법 38
2. 명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기법과 양식 38
1) 명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기법 39
2) 명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양식 40
Ⅵ. 명동성당의 窓과 건축미 47
1. 명동성당의 창호 47
1) 명동성당의 窓 48
2. 명동성당에 사용된 窓의 종류와 건축양식 49
1) 뾰족아치 창 49
2) 원형 창 55
3) 사각형 창 58
4) 기타 59
Ⅶ. 명동성당 STAINED GLASS와 창의 특징과 problem(문제점) 61
1. 특징 61
2. problem(문제점) 63
Ⅷ. 結 論 66
참고 문헌 69
Abstract 77
그림목차
그림 1. 트레이서리 도해도 72
그림 2. 명동성당 창 위치 일람도 72
그림 3. 명동성당 파이프 오르간실 줄 창 73
그림 4. 명동성당 옆 복도 창 73
그림 5. 명동성당 몸채 높은 창 73
그림 6. 명동성당 소매채 창 서측 면 ‘예수와 12사도’ 73
그림 7. 명동성당 소매채 창 동측 면 ‘동방박사의 경배’ 73
그림 8. 명동성당 성단 측면 창 73
그림 9. 명동성당 돌출머리 부분 성소 창 `로사리오 15단` 74
그림 10. 명동성당 제의실 배면 창 74
그림 11. 명동성당 종실 비늘 창 73
그림 12. 명동성당 지하성당 창고 창 74
그림 13. 명동성당 지하성당 배면 창 74
그림 14. 명동성당 제의실 통로 계단실 창 75
그림 15. 명동성당 시계실 시계 창 75
그림 16. 명동성당 성단 동․서측 후면 장미 창 75
그림 17. 명동성당 측면 출입구전실 상부 창 75
그림 18. 명동성당 첨탑 계단실 창 75
그림 19. 명동성당 제의실 통로 창 75
그림 20. 명동성당 종탑 지붕 창 76
그림 21. 명동성당 공중회랑 환기 창 76
그림 22. 명동성당 통층부 박공지붕 환기 창 76
Ⅰ. 序 論
1. 연구의 목적
한국 가톨릭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 수용은 개화시기인 19세기말에 고딕성당의 건축설립을 통해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