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improvement(개선) 흐름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6 07:26
본문
Download :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개선 흐름 검토.hwp
3) 改善시 기대결과
개인별 DB형, DC형 등의 혼합운용을 허…(省略)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개선 흐름 검토 ,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개선 흐름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퇴직연금제도 도입 설계 운영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개선 흐름 검토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개선 흐름 검토.hwp( 89 )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improvement(개선) 흐름 검토
퇴직연금제도,도입,설계,운영,유연성,강화,관련,법적,개선,흐름,검토,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이에 개정(案) 퇴직급여보장법에서는 근로자가 원하는 경우 DB형, DC형의 동시가입을 허용하고, 이 경우 각 제도별 가입비율 합은 1이상이 되도록 하고,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 제도형태 및 가입비율을 적용토록 하고 있다아
< ex : A사업장의 생산직근로자에게 DB, DC의 병행 선택 >
○ DB의 급여는 30일분 mean or average(평균) 임금의 60%, DC부담금은 ‘연간임금총액1/12’의 40%로 설정
○ A사업장의 모든 생산직 근로자에게 적용하고, 혼합형태와 가입비율의 집단적 변경은 허용하되 가입자 개인별 변경은 불허
○ 각 제도별 가입비율의 합은 1이상이 되도록 규약에 규정(DB 가입비율 + DC 가입비율 ≥1)
2) 해외 instance(사례)
日本 닛산은 DB 75%, DC 25%의 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대다수 기업들이 ‘퇴직급여=복수제도’라고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다.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의 유연성 강화 관련 법적 improvement(개선) 흐름 검토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설계 운영 方案 (노동법)
1. 가입자의 DB형 및 DC형 동시 설정 허용
1) 개요
현재는 근로자 개인이 DB형 및 DC형을 모두 선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기업 실정이나 근로자 선호에 맞는 퇴직급여제도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