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8 16:23
본문
Download :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한 근로기준법 58조 검토.hwp
3. 종업시각의 판단
종업시각은 원칙적으로 실제로 작업…(생략(省略))
근로시간계산의,특례에,관에,근로기준법,58조,검토,법학행정,레포트
다. 다만, 그 구체적인 판단은 사용자의 지휘/명령을 받느냐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3. 논의의 전개
간주근로시간제는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이므로 이하에서는 근로시간계산의 기본원칙에 대해 살펴보고, 법상 간주근로시간제인 사업장 밖 근로에서의 간주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에 대한 간주근로시간제를 서술하기로 하겠다.
2. 시업시각의 판단
시업시각은 원칙적으로 작업개시의 시각을 의미한다.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 ,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
순서




설명
Download :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한 근로기준법 58조 검토.hwp( 97 )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에 근로기준법 58조 검토
근로시간계산의 특례에 관한 근로기준법 58조
Ⅰ. 서설
1. 의의
간주근로시간제란 사업장 밖에서의 근로 또는 업무수행방법을 근로자의 재량에 맡기는 업무에 대하여 실제의 근로시간과는 관계없이 일정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인정하는 근로시간제도를 말한다.
2. 취지
산업구조의 change(변화)와 업무형태의 다양화로 현실적으로 근로자의 근로시간 측정(測定) 이 어려운 경우 분쟁의 소지를 없애고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근로시간계산에 있어 특례를 규정하였다.
Ⅱ. 근로시간계산의 기본원칙
1. 원칙
근로시간은 시업시각에서 종업시각까지의 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제외한 실근로시간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