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계통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9 09:34
본문
Download : 한국어 계통론.hwp
그러나 한자어를 제외한 순수 한국어의 모양·소리 흉내말은 중세에 활용하지 않고 이름씨, 그림씨로 쓰였고 (예를 들면 `날-`, `산-`(生) 등은 중세 문헌에서 이름씨로도 쓰이고 있다 게다가 `날로 먹다` 등에서 나타나듯이 `날-` 뒤에 토씨가 붙어 아직 이름씨의 성질이 남아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또한 현대 국어에서의 그림씨 줄기가 활용없이 어찌씨로 사용되는 것(예를 들면 `그르-`(誤), `부르-`飽), `바로-`(正)등이 있다)으로 미루어 보아, 원시 한국어에서는 알타이제어에서와 같이 이름씨가 활용없이 이름씨와 그림씨의 기능을 동시에 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런 추측을 가능하게 하는 또 하나의 근거는 알타이제어중 튀르크어의 이름씨가 그림씨로 쓰일 때에는 일정한 토씨가 붙는데 이런 현상은 비교적 후세에 나타난 문법적 變化(변화)로 보인다.
한국어와외국어의비교
다. 즉 원시 한국어에서는 알타이에서와 같이 이름씨와 그림씨가 동일하게 쓰였으며 이 중에서 사물의 속성을 의미하는 어휘가 뒤에 그림씨로 발달하게 된 것 같다.한국어 계통의 연구에 관한 것으로 알타이어와 비교, 대조하고 학자들의 의견이 포함된 리포트입니다.
3.2.2. 임자자리토씨
알타이제어에는 고유한 임자자리토씨가 없…(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한국어 계통론.hwp( 51 )
순서
한국어 계통의 연구에 관한 것으로 알타이어와 비교, 대조하고 학자들의 opinion이 포함된 리포트입니다.한국어와외국어의비교 , 한국어 계통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 계통론
설명
3.2.1. 그림씨
한국어는 다른 알타이어 외는 달리 그림씨가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