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주현군과 주진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4 10:59
본문
Download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hwp
실제로 개심사의 석탑을 쌓는 일에 동원되었던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중앙군의 1대가 25명으로 편성되었던 점을 비추어 역시 대를 단위로 조직된 광군도 그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본 자료는 고려의 군사조직인 주현군과 주진군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주현군과주진군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기타레포트 ,
주현군과주진군
본 資料는 고려의 군사조직인 주현군과 주진군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후에는 그들의 후신인 향리…(생략(省略))
,기타,레포트
설명
다.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지방관이 파견되지 못하였고 중앙government 의 지방에 대한 통치력이 확보되지 않았던 고려 초의 상황에서 중앙government 가 농민들을 동원하기란 불가능했을 것이므로, 광군은 당시 사실상 지방 통치를 맡고 있던 호족세력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부대 지휘권 역시 그들에게 장악되었던 것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레포트/기타
Download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hwp( 40 )
고려 주현군과 주진군
순서






1)주현군과 농민
(1)주현군의 성립
가. 광군
가) 광군의 성격
정종 2년(947)에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조직된 지방군으로, 농민으로 구성된 농민군이었다고 할 수 있다 30만 명에 달했다는 광군이 상비군이었다거나 일시적으로 조성되었다가 해체되었다기 보다는, 언제든지 동원될 수 있는 상설적인 군사조직으로서 일종의 농민예비군과 같은 성격을 지닌 것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광군은 대규모로 군사를 일으켜야할 필요가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투보다는 노역을 담당하던 부대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