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동향과 문제점(問題點)에 대해 논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10:16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hwp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으로는 특수학교 유치부, 유치원과정만 운영하는 특수학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단설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 특수학급으로 구분된다. 1997년부터
Ⅱ 본론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정이와 기준에 관련한 문제가되는점 으로는 먼저 특수교육대상자의 정이와 기준이 장애범주에 따라 분류된 장애아동만을 특수교육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따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한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정이와 기준을 학령기 아동에게 적용되는 장애 범주별 기분에 의해 장애로 분명하게 진단된 아동들로만 제한되어 있따 이처럼 유아들이 유아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기 위해 특수교육진흥법에 규정되어 있는 범주별 접근에 따른 특정 장애로 진단받아야하는 것은 조기에 장애명칭을 부여함으로 부정적인 인식이나 영향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장애로 뚜렷이 진단이 되지 않은 유아들이 제외될 수 있는 문제가되는점 을 안고 있따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동향과 문제점(問題點)에 대해 논하시오.
Ⅲ 結論(결론)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동향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동향
다. 현재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기관으로는 특수학교 유치부, 유치원과정만 운영하는 특수학교,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단설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 특수학급으로 구분된다. 한편, 1997년부터 인가를 받기 시작한 유치원과정만 운영하는 특수학교의 경우 1998년 3월 3개의 유아특수학교가 설립되어 14학급 90명의 아동이 교육을 받기 시작하였고, 1999년에는 5개 사립 유아특수학교 24학급에 152명의 장애유아가 교육을 받았고, 이후 공립인 전주유화학교를 포함하여 전국에 10개의 유아특수학교가 설립되어 2007년 현재 58학급에서 293명이 교육을 받고 있다. 학급 수는 1992년에 비해 1.8배, 학생 수는 약 1.6배 증가하였고 이후 학급 수는 2001년 2018개로 증가하였지만, 아동 수는 오히려 감소되다가 2002년부터 학급 수가 감소되기 시작하여 2007년 현재 162개교에 1,032명으로 아동 수가 감소하고 있다. 학급 수는 1992년에 비해 1.8배, 학생 수는 약 1.6배 증가하였고 이후 학급 수는 2001년 2018개로 증가하였지만, 아동 수는 오히려 감소되다가 2002년부터 학급 수가 감소되기 스타트하여 2007년 현재 162개교에 1,032명으로 아동 수가 감소하고 있다 한편, 1997년부터 인가를 받기 스타트한 유치원과정만 운영하는 특수학교의 경우 1998년 3월 3개의 유아특수학교가 설립되어 14학급 90명의 아동이 교육을 받기 스타트하였고, 1999년에는 5개 사립 유아특수학교 24학급에 152명의 장애유아가 교육을 받았고, 이후 공립인 전주유화학교를 포함하여 전국에 10개의 유아특수학교가 설립되어 2007년 현재 58학급에서 293명이 교육을 받고 있다 1997년부터
1)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定義(정이)와 기준의 문제점(問題點)
Ⅰ 서론
Ⅲ 結論
설명
1)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정이와 기준의 문제가되는점
유아특수교육, 장애아동,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문제점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문제점(問題點)
순서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상황
2) 장애유아 배치에 관한 문제점(問題點)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문제점 1)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정의와 기준의 문제점 2) 장애유아 배치에 관한 문제점 3) 유아특수교육 전달체계상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1997년 시행령 발표와 함께 특수학교 유치부 및 유치원 특수학급이 증설되었고, 소수이지만 유아특수학교가 전국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하여, 2005년에는 전국에 12개의 유아특수교육학교가 설립 운영되는 등 유아특수교육을 위한 무상의 공교육 기관이 최근 몇 년 사이에 급속하게 확대되었다.
Download :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hwp( 43 )
3) 유아특수교육 전달체계상 문제점(問題點)
Ⅳ reference
2) 장애유아 배치에 관한 문제가되는점
둘째, 조기에 적절한 유아특수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장차 그들이 보일수도 있는 장애가 미리 예방되거나 경감될
3) 유아특수교육 전달체계상 문제가되는점
Ⅳ Reference List
1) 유아특수교육 대상자 정이와 기준의 문제가되는점
Ⅱ 본론
Ⅰ 서론
Ⅱ 본론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문제가되는점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의 문제가되는점
1997년 시행령 발표와 함께 특수학교 유치부 및 유치원 특수학급이 증설되었고, 소수이지만 유아특수학교가 전국적으로 설립되기 스타트하여, 2005년에는 전국에 12개의 유아특수교육학교가 설립 운영되는 등 유아특수교육을 위한 무상의 공교육 기관이 최근 몇 년 사이에 급속하게 확대되었다. 이 중 특수학교 유치부의 경우 1992년 103개 학급에 816명의 장애아동이 유치원 과정의 교육을 받았으나, 1999년 98개 특수학교에 189개 학급이 설치되어 1,277명으로 증가하였다. 이 중 특수학교 유치부의 경우 1992년 103개 학급에 816명의 장애아동이 유치원 과定義(정이) 교육을 받았으나, 1999년 98개 특수학교에 189개 학급이 설치되어 1,277명으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