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론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자원봉사론 E형)기업의 자원봉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2 06:11
본문
Download : 기업의자원봉사[2].hwp
이에 비해 자원봉사는 봉사자 자신이 속한 지歷史회가 필요로 하는 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봉사자 자신의 지歷史회를 돕고 궁극적으로 봉사자 자신을 돕는 것이다. 따라서 자원봉사는 박애와 자선보다 진보된 사회봉사라 할 수 있다.
레포트 >
3. 계몽된 자기이익론
I. 기업 자원봉사의 정의
1) 자원봉사 program의 참여 실태(實態)
기업의 자원봉사 사례, 기업의자원봉사방안, 자원봉사, 자원봉사론, 자원봉사방안
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 - 기업시민론
4) 자원봉사의 effect
서지사항
![기업의자원봉사[2]-251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8%B0%EC%97%85%EC%9D%98%EC%9E%90%EC%9B%90%EB%B4%89%EC%82%AC%5B2%5D-2510_01.gif)
![기업의자원봉사[2]-251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8%B0%EC%97%85%EC%9D%98%EC%9E%90%EC%9B%90%EB%B4%89%EC%82%AC%5B2%5D-2510_02_.gif)
![기업의자원봉사[2]-251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8%B0%EC%97%85%EC%9D%98%EC%9E%90%EC%9B%90%EB%B4%89%EC%82%AC%5B2%5D-2510_03_.gif)
![기업의자원봉사[2]-251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8%B0%EC%97%85%EC%9D%98%EC%9E%90%EC%9B%90%EB%B4%89%EC%82%AC%5B2%5D-2510_04_.gif)
![기업의자원봉사[2]-251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A%B8%B0%EC%97%85%EC%9D%98%EC%9E%90%EC%9B%90%EB%B4%89%EC%82%AC%5B2%5D-2510_05_.gif)
1.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자원봉사론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자원봉사론 E형)기업의 자원봉사 사례를 조사하고, 긍정적인 측면과 problem(문제점)을 分析하고, 향후 바람직한 기업의 자원봉사 measure(방안) 을 모색해 보십시오.
I. 기업 자원봉사의 정의
III. 기업 자원봉사의 원칙 및 장단점
1. 사회체계理論
II. 기업 자원봉사의 理論
순서
박애(philanthropy)와 자선(charity)은 기업의 전통적인 사회봉사로서 주로 기금 또는 물질적 기부 행위를 통해 사회의 취약 부분이나 개인들을 일시적으로 돕는 행위이며 주는 사람의 주고 싶은 동기, 우월감, 또는 만족 때문에 주어지는 일방적인 행위일 가능성이 많다. 기업의 자원봉사는 흔히 사회공헌 또는 사회참여, 그리고 사회봉사 등과 같은 의미로 혼용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사회공헌, 사회참여, 또는 사회봉사의 일부일 뿐 그들과 같은 정의 이라고 할 수는 없다. 즉 기업이 기부금 등 돈으로 봉사할 때는 기업에 별다른 effect가 나타나지 않고 일반 대중 또한 기업의 의도에 대해 의심하지만, 자원봉사를 통해 봉사할 때는 가장 적은 돈으로 보다 큰 effect가 기업, 사원 그리고 지歷史회 모두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사회봉사는 기업의 사회공헌 또는 사회참여의 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그 속에 회사 차원의 박애 또는 자선, 그리고 사원들이 중심이 되는 자원봉사가 포함된다.
기업의 박애와 자선 관행을 중시해온 미국의 기업들은 1970년대 이후 자원봉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자원봉사(corporate volunteerism)를 “기업 경영진의 격려와 지원 또는 제도화된 정책과 절차에 따라 사원들이 자발적인 의사에 따라 집합적으로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업무 외의 지歷史회 활동에 투입함으로서
3. 토의
V. 향후 바람직한 기업의 자원봉사대책
사회에 봉사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박애나 자선에 쓸 돈이 줄어들기도 했지만, 박애나 자선과 같은 전통적인 사회봉사의 방법보다 사원들이 직접 지歷史회에 참여하여 봉사하는 자원봉사가 뜻밖의 effect를 가져다 주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2. 연구 결과 요약
기업의 자원봉사가 가장 활발한 나라인 미국에서는 기업 자원봉사에 퇴직자들의 자원봉사도 포함되어 있어서, 켄 알렌(Kenn Allen, 1995)은 기업 자원봉사를 “자신들의 시간과 기술을 지歷史회에 환원하고자 하는 임직원들과 퇴직자들을 위한 formula적 혹은 체계화된 회사의 지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설명
2) 회사의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VI. 結論
3)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 및 기대
5) 봉사대상자의 reaction(반응) 및 평가
Download : 기업의자원봉사[2].hwp( 50 )
VI. 기업의 자원봉사 example(사례) 연구 - 삼성 그룹내 두 회사의 경우
기업의 사회공헌 또는 사회참여는 “사회가 기업에 기대하는 법적, 경제적 역할 수행의 차원을 넘어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윤리적이며 개량적인 차원에서 사회와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신유근, 한정화, 1990 : 2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