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0:17
본문
Download : [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hwp
신당(神堂)은 한 칸짜리 정4각형의 맞배기와집으로, 정면에는 두 짝의 문이 있고 옆벽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만들었으며 왼쪽 10m 앞쪽에는 작은 샘이 있고 왼쪽 뒤에는 산신각보다 큰 바위가 있으며 큰 바위 앞에 작은 바위가 또 하나 있는데 그 바위 위에 작은 돌들을 쌓아 올려놓았다.
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
Download : [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hwp( 74 )
![[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128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D%8F%89%EC%B0%BD%EB%8F%99%EB%B3%B4%ED%98%84%EC%82%B0%EC%8B%A0%EA%B0%81%EC%97%90%20%EB%8C%80%ED%95%98%EC%97%AC-1283_01.gif)




설명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3호 ▒ ...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민속data(자료) 제3호 ▒ 지정연월일 1973년 1월 26일 ▒ 규모·양식 정면1칸, 측면1칸, 맞배지붕 ▒ 소 유 자 사유 ▒ 소 재 지 종로구 평창동 541-1 평창동 보현산신각은 마을의 평안과 주민의 안녕을 산신에게 기원하기 위해 북한산 보현봉(普賢峰) 기슭에 세운 것이다. 여산신각은 보현산신각에서 서쪽으로 약 600m 떨어진 곳에 있따 맞배지붕 한옥의 한평 내외의 작은 건물이며 여기서 1km쯤 내려오면 옛날 평창(平倉)터였던 500여 평정도 되는 평지에 신목(神木)이 있으며 천제단(天祭壇)은 보현봉 서남쪽 아래 있었다고 하나 그 흔적만 남아 있따 산신각 내에는 기호노인상(騎虎老人像)의 산신도(97×108cm)가 정면에 걸려 있따 산신은 청색도포를 입고 관을 쓰고 왼손에 우선(羽扇)을 들고 있으며 뒤쪽 오른쪽에는 호랑이가 엎드려 있고 왼쪽에는 푸른 옷을 입은 동자가 무릎을 꿇은 자세로 천도복숭아 3개를 쟁반에 받쳐들고 있따 여산신각에도 여산신도 1매가 걸려 있따 규격은 84×72cm이며 `大正十二年 癸亥八月十四日 山神奉安于 大同出草 師 金禮□堂 相奎`라는 기록으로 보아 1923년에 제작된 그림임을 알 수 있따 제일(祭日)은 3월 1일 산신각ㆍ여산신각ㆍ부군당 세 곳에...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민속자료(資料) 제3호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학]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평창동보현산신각에 대하여.. ▒ 지정번
순서
다. 산신각 앞쪽과 옆에는 촛대를 높게 만들어 놓고 초를 꽂아 불을 켜 놓았으며 산신각 단 아래 우측에는 산신각 3배 정도의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 아래 제단을 만들어 놓고 길이 60cm, 폭 30cm, 높이 60cm 정도의 한옥 기와집 형태의 등각(燈閣)을 만들고 그 안에 촛불을 켜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