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의 설립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1 17:22
본문
Download : 노동조합의설립.hwp
(동법 §8)
⑥ 법외노조는 단체협약의 지역적 구속력(동법 §36) 등 효력확장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노동조합,설립,경영경제,레포트
설명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1. 자유설립주의의 원칙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5조에서는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노동조합의 설립원칙으로 자유설립주의를 채택하고 있다아2. 신고주의의 가미
그러나 동법 제10조에서는 「노동조합을 설립하고자 할 때에는 설립신고서에 규약을 첨부하여 행정관청에 신고」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주의를 가미시키고 있다아 신고주의의 도입취지는 행정관청이 노동조합의 설립과정을 심사함으로써 설립과정이 적법하게 그리고 민주적으로 진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노동조합의 설립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순서
노동조합의 설립 , 노동조합의 설립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노동조합 설립
레포트/경영경제
노동조합의 설립
다. (동법 §6)
⑤ 법외노조는 면세특권이 없다.
【참고】‘행정관청’…(省略)
〈 3 〉규약상 사업 또는 사업장을 조직범위로 하는 기업별 노동조합
① 하나의 사업장으로 구성된 노동조합은 당해 시·도(조례에서 시·군·구에 위임한 경우에는 시·군·구) 소관
② 2 이상의 시·도에 걸치는 수개의 사업장으로 구성된 기업에 조직된 노동조합으로 조합원도 각 사업장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동부 지방노동관서 소관
③ 2이상의 시·도에 걸치는 수개의 사업장으로 구성된 기업에 조직된 노동조합이나 조합원이 특정 사업장에만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합원이 있는 당해 사업장 관할 시·도 소관
④ 2이상의 기업을 조직범위로 하는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2이상의 시·도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방노동관서 소관, 특정 시·도에만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시·도 소관
⑤ 조합원 대부분이 특정 시·도에만 분포되어 있으나 일부 조합원이 타 시·도에 있는 연락소 또는 출장소 등에 파견 등을 통해 근무하는 경우에는 2이상의 시·도에 걸치는 노동조합이 아님에 특히 주의
① 법외노조는 노동조합명의로 부당노동행위구제신청의 당사자 적격이 없다. (노동위원회법 §6 ③)
① 규약의 제정?변경, 임원의 해임
Download : 노동조합의설립.hwp( 65 )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동법 §7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