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aser의 교수과정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9:12
본문
Download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hwp
김호권은 교수목표(goal)를 다음과 같이 definition 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목표(goal) 선정에 있어 먼저 교과내용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추는 일과 현행 교육과definition 기본 목표(goal)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겠다.
2. 투입행동
Glaser 모형의 두 번째 단계는 투입행동 혹은 출발점 행동의 진단이다. 이런 의미에서 교수목표(goal)는 수업의 소산으로서의 학습성과(learning outcomes)를 담은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목표(goal)는 세분화하여 적절한 순서로 계열화하여 학생들이 교수목표(goal)에 쉽게 도달하도록 해야하며 수업 후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상적인 진술보다는 觀察할 수 있고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도록 행동적·구체적인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교수목표(goal)는 수업이 효능적인 경우 그 수업과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생각과 느낌과 행동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표현한 진술문이리고 할 수 있다 즉 교수 목표(goal)는 단원의 수업, 한 교과 코스 또는 학교 교육의 전체과정에 참여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變化된 지식의 종류, 지적 능력, 흥미, 태도 등의 학생property(특성)을 조작적인 형태로 표현한 문장이다. 출발점 행동의 진단이란 수업을 하기 전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교수목표(goal)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성property(특성), 적성, 학습경험, 학습습관 등을 진단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렇게 진단된 투입행동은 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 학습내용과 교수방법의 선정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출발점 행동의 진단은 지능, 적성, 선행학습수준, 학습동기, 학습책략, 흥미 등과 같이 학습자의 개인차 변인과 관련되어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전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선수학습 능력을 …(To be continued )
레포트/사범교육
Glaser의 생애와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및 적용 및 용어에 대해서 說明(설명) 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특정한 교수활동이 종료된 후에 학습자들에게 성취되기를 바라는 목표(goal), 즉 종착점행동(terminal behavior)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Glaserreport97
순서
Download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hwp( 46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
설명
Glaser의 생애와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및 적용 및 용어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즉 새로운 수업이 스타트되는 단계에서 학생들이 가지는 선행학습의 정도를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Glaserreport97 ,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사범교육레포트 ,
Ⅰ. Glaser의 생애
Ⅱ. 교수과정 모형의 개관
1. 교수목표(goal)
2. 투입행동
3. 교수절차
4. 학습평가
5. Glaser의 교수과정 모형의 특징
Ⅲ. 교수과정 모형의 적용
1. 새 수업체제 모형
2. 교수목표(goal)의 진술
3. 형성평가
Ⅳ. 용어요약
* 참 고 문 헌 *
1. 교수목표(goal)
교수과definition 첫 단계는 성취되어야 할 목표(goal)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사범교육,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