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4:27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hwp
조산아는 여러 요인 때문에 동맥관 개존증 발생률이 더 높다.
- 저체중 미숙아에서는 PDA는 신생아 호흡곤란
치료 및 간호
① 내과적관리
: 동맥관 수축을 증진하는 PG억제제인 indomethacin을 사용하여 동맥관을 페쇄할 수 있으나 신장 기능에 effect(영향) 을 줄 수 있으므로 감시가 필요하다.
병태생리
동맥관 폐쇄의 정확한 기전은 충분히 이해되지 않으나 두 개의 주요요인이 있다
- 호흡에 의한 동맥혈 산소포화도 증가,
- 태반 제거와 함께 일어나는 순환 prostaglandin의 감소.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질환의 약 5~10%를 차지한다.
② 중재적 심도자술
: 동맥관의 비외과적 폐쇄는 심도자술로 행한다. 출생 후에는 아기가 태반에서 분리되고 호흡을 스타트하면서 폐순환이 스타트되면 동맥관의 기증이 불필요해지며 막힌다. 출생 후에는 아기가 태반에서 분리되고 호흡을 스타트하면서 폐순환이 스타트되면 동맥관의 기증이 불필요해지며 막힌다.
증상
- 작은 크기의 PDA는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 큰 PDA는 심부전증, 잦은 호흡기 감염, 발육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출생후 12~15시간에 동맥관의 기능적인 폐쇄가 일어나며 생후 2~3주에는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에도 비정성적으로 동맥관이 열려있는 상태를 동맥관개존이라 한다. 즉,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산소에 대한 동맥관의 反應이 더욱 감소되게 되며, 조산아는 저산소증을 일으키는 폐질환을 가질 수 있어 동맥관이 계속 확장되어 있다 또한 조산아는 prostaglandin의 농도가 높아서 동맥관이 계속 개존하도록 한다. 동맥관 폐쇄를 위해 코일을 설치하나 경우…(투비컨티뉴드 )
다.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설명
[의학,약학]아동간호학,-,아동,심장,질환에,관해서[선천성,심질환,후천성,심질환],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1.gif)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2.gif)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3.gif)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4.gif)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5.gif)
![[의학,약학]아동간호학%20-%20아동%20심장%20질환에%20관해서[선천성%20심질환,%20후천성%20심질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20-%20%EC%95%84%EB%8F%99%20%EC%8B%AC%EC%9E%A5%20%EC%A7%88%ED%99%98%EC%97%90%20%EA%B4%80%ED%95%B4%EC%84%9C%5B%EC%84%A0%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20%ED%9B%84%EC%B2%9C%EC%84%B1%20%EC%8B%AC%EC%A7%88%ED%99%98%5D_hwp_06.gif)
Download :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hwp( 50 )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의학,약학]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선천적 심질환
1. 동맥관 개존증 : PDA(Patent Ductus Arteriosus)
:출생 전 태아에서 반드시 열려있어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관이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단락(shunt)의 방향은 폐동맥보다 대동맥에서 압력과 저항이 더 높기 때문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흐른다. 대개 출생후 12~15시간에 동맥관의 기능적인 폐쇄가 일어나며 생후 2~3주에는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이 시기 이후에도 비정성적으로 동맥관이 열려있는 상태를 동맥관개존이라 한다.
병태생리
동맥관 폐쇄의 정확한 기전은 충분히 이해되지 않으나 두 개의 주요요인이 있다
- 호흡에 의한 동맥혈 산소포화도 증가,
- 태반 제거와 함께 일어나는 순환 prostaglandin의 감소.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질환의 약 5~10%를 차지한다. 외과적 수술보다 덜 침해적이어서 교정을 위해 선택적으로 행하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단락(shunt)의 방향은 폐동맥보다 대동맥에서 압력과 저항이 더 높기 때문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
◈선천적 심질환
1. 동맥관 개존증 : PDA(Patent Ductus Arteriosus)
:출생 전 태아에서 반드시 열려있어야 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관이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있는 상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