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법] 도시계획변경결정에 대한 권리구제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21:15
본문
Download : 도시계획변경결정에 대한 권리구제방법[1]1.hwp
다만 乙을 구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본다면, 乙이 사실상 국가를 상대로 손실보상청구를 하는 것인데, 구 도시계획법에서는 도시계획지역내에서의 주거지역 결정으로 인한 손해에 대한 손실보상규정이 없으므로, 국가를 상대로 손실보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만일 국가가 이에 응하지 않을 때에는 행정청의 처분 등을 Cause 으로 하는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인 당사자소송을 해야만 최소한의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skip)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도시계획변경결정에 대한 권리구제방법[1]1.hwp( 15 )
[도시계획법] 도시계획변경결정에 대한 권리구제방법
도시계획법,행정상손실보상,손실보상,국가보상,법학행정,레포트
순서
Ⅰ. 문제제기, 1. 항고소송 항고소송, 2. 당사자 소송, Ⅱ. 도시계획변경결정취소소송의 가능성과 인용가능성, 1. 도시계획변경결정의 처분성, (1) 학설, (2) 판례의 태도, (3) 검토, (4) 사안의 경우, 2. 도시계획변경결정의 위법여부, , (1) 행정계획과 계획재량, (2) 형량명령과 형량의 하자, Ⅲ. 도시계획변경신청의 거부, 부작위에 대한 항고소송의 가능성, Ⅳ. 손실보상청구의 가능성, 1.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충족여부, 2. 보상규정이 없는 경우의 손실보상의 가능성, Ⅴ. 결론, FileSize : 56K , [도시계획법] 도시계획변경결정에 대한 권리구제방법법학행정레포트 , 도시계획법 행정상손실보상 손실보상 국가보상
다.설명
Ⅰ. 문제제기, 1. 항고소송 항고소송, 2. 당사자 소송, Ⅱ. 도시계획변경결정취소소송의 가능성과 인용가능성, 1. 도시계획변경결정의 처분성, (1) 학설, (2) 판례의 태도, (3) 검토, (4) 사안의 경우, 2. 도시계획변경결정의 위법여부, , (1) 행정계획과 계획재량, (2) 형량명령과 형량의 하자, Ⅲ. 도시계획변경신청의 거부, 부작위에 대한 항고소송의 가능성, Ⅳ. 손실보상청구의 가능성, 1.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충족여부, 2. 보상규정이 없는 경우의 손실보상의 가능성, Ⅴ. 結論, 파일크기 : 56K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1.gif)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2.gif)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3.gif)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4.gif)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5.gif)
![도시계획변경결정에%20대한%20권리구제방법[1]1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EB%8F%84%EC%8B%9C%EA%B3%84%ED%9A%8D%EB%B3%80%EA%B2%BD%EA%B2%B0%EC%A0%95%EC%97%90%20%EB%8C%80%ED%95%9C%20%EA%B6%8C%EB%A6%AC%EA%B5%AC%EC%A0%9C%EB%B0%A9%EB%B2%95%5B1%5D1_hwp_06.gif)
Ⅰ. 문제제기
1. 항고소송 항고소송
2. 당사자 소송
Ⅱ. 도시계획변경결정취소소송의 가능성과 인용가능성
1. 도시계획변경결정이 처분성
(1) 학설
(2) 판례의 태도
(3) 검토
(4) 사안의 경우
2. 도시계획변경결정이 위법여부
(1) 행정계획과 계획재량
(2) 형량명령과 형량의 하자
Ⅲ. 도시계획변경신청의 거부, 부작위에 대한 항고소송의 가능성
Ⅳ. 손실보상청구의 가능성
1.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충족여부
2. 보상규정이 없는 경우의 손실보상의 가능성
Ⅴ. 결론
도시계획변경결정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이므로 이에대한 항고소송을 제기할수는 있지만 행정청의 부작위 등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도지사의 도기계획변경결정처분은 당당하다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