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의 왕릉문화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12:24
본문
Download : 조선조의 왕릉문화 이해.hwp
그 해 9월17일 송나라제도에 왕공이하는 3개월에 장사 지내는 규정에 의거 광주부 언주면(현 서초구 내곡동)구룡산 대모산줄기의 회룡고조(회룡고조)형국에 장례지냈다.
태종의 비 원경왕후 민씨는 여흥부원군 영예문춘추관사(영예문춘추관사) 민제(민제)의 딸로 공민왕 14년(1365)7월11일 개성에서 탄생하였다.
나. 인릉(인릉)
조선조 제23대 순조와 그 비 순원왕후김씨(순원왕후김씨)의 합장릉이다.
다.
태조 원년(1392)8월7일 정안군(정안군)에 봉하고 정종 2년(1400)2월4일에 왕세자로 책봉되고 그해 11월11일 왕위를 선양 받아 이틀후인 11월13일 개성 수창궁(수창궁)에서 즉위하였다. 순조는 정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수빈 박씨(수빈 박씨)로 판돈령부사(판돈령부사)로 영의정에 추증된 박준원(박준원)의 딸이다.태종은 태조의 5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 , 조선조의 왕릉문화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가. 헌릉(헌릉)
조선조의 왕릉문화 이해
Download : 조선조의 왕릉문화 이해.hwp( 35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태종은 태조의 5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
레포트/인문사회
조선조 제3대 태종과 그 비 원경왕후 민씨(원경왕후 민씨)의 능이다.세종 2년(1420)7월10일 수강궁에서 승하하니 춘추가 56세였다.
태종 18년(1418)8월11일 왕위를 세종에게 전위하고 세종 4년(1422)5월10일 수강궁(수강궁,현 창경궁)에서 승하하니 왕위에 있은지 19년이고 상왕자리에 있은지 4년이었으며 춘추가56세 였다.
태종은 태조의 5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신의왕후 한씨)로써 고려 공민왕 16년(1367) 5월16일 함흥부 후주에서 탄생 하였다. 그 해 9월6일 5개월후에 원경왕후릉 서쪽인 오른쪽에 유명에따라 장례지냈다. 순조 22년(1822)12월26일 창덕궁 보경당에서 졸서(졸서)하니 춘추가 53세 이고 시호를 현목(현목)이라 올리고 이듬…(투비컨티뉴드 )






가. 헌릉(헌릉)조선조 제3대 태종과 그 비 원경왕후 민씨(원경왕후 민씨)의 능이다.
순서
가. 헌릉(헌릉)
조선조 제3대 태종과 그 비 원경왕후 민씨(원경왕후 민씨)의 능이다.
수빈박씨는 영조 46년(1770)5월8일 탄생하여 정조 11년(1787)2월에 숙선옹주(숙선옹주)를 낳고 수빈(수빈)에 봉하고 궁호를 가순궁(가순궁)이라 하였다. 태조 원년에 정령옹주(정령옹주)에 봉하고 정종 2년 3월14일 세자정빈(세자정빈)으로 책봉되고 태종즉위년에 정비(정비)로 책봉하였으며 세종즉위년(1418)11월8일 왕대비로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