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00:44
본문
Download : 수면장애_2052533.hwp
☆수면장애☆ , 수면장애자연과학레포트 ,
수면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다.
,자연과학,레포트
☆수면장애☆
Download : 수면장애_2052533.hwp( 20 )
순서
수면장애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 수면은 의식상실과 달리 생명체 균형 유지, 삶에 활력을 주는 적극적인 생명현상으로 무의식 하에 중추성 조절이 수행. 중추성 조절이 억제되면 신체 장기뿐 아니라 수면의 정상 생리적 조절에도 影響을 미침.
- 수면과 같은 생물학적 리듬현상은 생체에 내재된 생리적 기관에 의해 발생하며 외부environment alteration(변화) 에 따라 수동적으로 影響을 받음.
- circadian rhythm: 정상 성인의 경우 생물학적 시계에 의해 24시간 밤낮의 주기와 기타 주변 시간 알리는 것, 즉 태양, 자명종, 점심시간 등에 맞춰 circa(대강) rhythm을 형성, 이와 같은 대략 24시간 주기로 되는 어떤 현상의 규칙적 반복을 말함.
- 수면각성 주기: circadian rhythm의 하나. 신체 모든 주기성 기능과 상호작용.( ex: 뇌파, 체온조절, 호흡, 심박동, 신경전달물질대사, 호르몬유리, 월경주기, 발정기 등)
- 수면기전 : brain stem에 있는 serotonin(5-HT), norepinephirine 및 그들의 대사산물인 biogenic amine들의 상대적 농도에 의해 수면각성주기 나타남.
a. 뇌간 median raphe nucleus의 neuron은 5-HT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부 터 대뇌피질이나 diencephalon으로 광범위하게 axon이 연결. 어떤 원인(原因)으로 neuron의 5-HT가 감소하거나 nucleus가 파괴시 NREM수면, REM수면이 함께 소 실되어 심한 불면증 발생.
b. 뇌간의 lateral pontile reticular formation(RF), 특히 locus coeruleus에 nor- epinephirine 많이 함유. 어떤 원인(原因)으로 norepinephirine 농도 동시에 감소시킬 경우 불면증 발생.
→ 이때 5-HT 투여하면 곧 NREM수면은 회복, REM수면은 회복되지 않음.
3. 수면단계
1) 각성시 - 뇌파 12~18Hz…(To be continued )






수면장애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