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양민학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5 18:41
본문
Download : 제주 43 양민학살.hwp
그는 5월 12일부터 공격을 개시하여 6월 중순이 되면 `포로` 의 숫자는 6천 명으로 불어난다. 박진경과 국방경비대의 강력한 토벌에 대응하여 유격대는 5월말 그 편제를 `인민해방군`으로 바꾸었고, 도민들 또한 생존의 극한 상황에서 국방경비대의 동향을 탐지, 감시하기 스타트했다.
5) 학살 - `삼광(三光)`, `삼진 (三盡)‘ 작전
부대를 정…(省略)
설명
레포트/기타
제주 4.3 양민학살
다.제주_4[1].3_양민학살 , 제주 4.3 양민학살기타레포트 ,






제주_4[1].3_양민학살
순서
4) 박진경의 초토화작전
이에 미국은 즉각 제주도의 해안선을 봉쇄하고 박진경에게 초토화작전을 명령한다. 7월 15일에는 송요찬을 새로운 연대장으로 임명하여 그로 하여금 약 한달 동안 새로이 부대정비를 하게 한 다음 유격대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도록 하였다.
제주 4.3 양민학살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Download : 제주 43 양민학살.hwp( 37 )
,기타,레포트
제주 4.3 양민학살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6월 18일 토벌 방식에 불만을 품은 문상길 등이 박진경을 살해하자, 미군정은 최경록을 후임에 임명하여 도민들에 대한 수색작업을 계속하였다. 8월 초순, 김달삼 등 유격대 주요 지휘관 6명이 해주의 남조선인민 대표자회의 참석을 명분으로 제주를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8월 15일 대한민국 政府(정부)가 수립되는 등의 정치일정으로 인하여 유격대는 장기항전 준비에 돌입함으로써, 경비대의 대유격대 진압작전 또한 일시적으로 소강상태에 들어가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