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9 09:25
본문
Download : 장화홍련전.hwp
우선 그는 「嘉齋事實錄」에 실려있는 <장화홍련전> 말미의 기록을 중요시하여 한글본이 선행함을 밝히고 있다
Ⅱ. 구성적 특징
1.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
1) 박성의 : `韓國古代小說論과 史`에서 - 인물중심, 설화형식, 전기적구성
대부분의 고대소설을 보면 그 구성이 대개 …(drop)
설명
다.
한편 창작연대는 두 가지 학설이 있다 김태준은 <實談先行說>로 全東屹이라는 실제 인물의 實談을 기초로 한문본이 1698년 혹은 1758년에 창작되었고 이 한문본에 근거하여 한글본이 이후에 번역 창작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비해 全聖鐸은 <한글본先行說>을 주장한다. 김태준이 주장한 朴慶壽와 다른 한문본을 창작한 朴仁壽 두 사람이다.
3) 이본
<장화홍련전>의 이본은 크게 한글본, 한문본, 국한문본, 개작본의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글본에는 필사본, 목판본, 신활자본이 있는데 한글본은 다시 8종으로, 목판본은 3종으로 신활자본은 학자에 따라 10-20여종으로 보고 있다 한문본은 朴慶壽本과 朴仁壽本 두 가지가 있다 국한문본으로는 1종이 확인되고 개작본은 2종이 있다
4) 작가와 창작연대
<장화홍련전>의 작자를 알 수 있는 이본은 한문본밖에 없다.
Download : 장화홍련전.hwp( 33 )
장화홍련전
장화홍련전의 개괄적 내용과 소설의 분류, 이본, 작품의 구조와 인물들, 그리고 작품의 공간과 꽃과 물에서의 죽음, 주제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 장화홍련전서평서평감상 ,






서평감상/서평
순서
,서평,서평감상
장화홍련전의 개괄적 내용과 소설의 분류, 이본, 작품의 구조와 인물들, 그리고 작품의 공간과 꽃과 물에서의 죽음, 주제의 의미에 대상으로하여 정리(arrangement)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