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상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2-06 02:43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사상가.ppt
설명
조선시대 사상가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조선시대,사상가,인문사회,레포트
조선시대 사상가 , 조선시대 사상가인문사회레포트 , 조선시대 사상가
교육철학 및 교육사-조선시대 사상가- (이수광, 이익, 유형원, 홍대용, 이덕무, 정약용)
이수광(1563~1628)
1585년(선조 18) 별시문과에 급제, 승문원부정자가 되었으며, 전적을 거쳐 호조와 병조의 좌랑 겸 지제교(知製敎)를 지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강화로 갔다.
1609년(광해군 1) 중앙으로 와서 도승지·예조참판·대사헌·대사간 등을 지냈다.
1625년 대사헌으로서 왕의 구언(求言)에 응하여 12조목에 걸친 〈조진무실차자 條陳懋實箚子〉를 올려 당시 가장 뛰어난 소장(疏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인조가 즉위하자 도승지로 관직에 복귀했다.
1611년 왕세자의 관복(冠服)을 청하는 사절의 일원으로 3번째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7년 홍주목사로 부임했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방어사 조경(趙儆)의 종사관으로 종군했고, 북도선유어사(北道宣諭御史)가 되어 함경도 지방에서 이반한 민심을 돌이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저서
〈조진무실차자〉
정치의 결과 를 이루지 못하고 사회가 어지러워지는 것은 모두 부실한 병 때문이라 지적하였고, 모든 일을…(省略)
Download : 조선시대 사상가.ppt( 17 )
조선시대 사상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