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판소리 장단 정리(整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2 20:45
본문
Download : [국악] 판소리 장단 정리.hwp
..
판소리장단연구(국악학과)
즐건하루 되세요~~~~~
[국악] 판소리 장단 정리(整理)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편집능력의 한계로인해서....ㅠㅠ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1.gif)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2.gif)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3.gif)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4.gif)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5.gif)
![[국악]%20판소리%20장단%20정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5%85%5D%20%ED%8C%90%EC%86%8C%EB%A6%AC%20%EC%9E%A5%EB%8B%A8%20%EC%A0%95%EB%A6%AC_hwp_06.gif)
Download : [국악] 판소리 장단 정리.hwp( 11 )
많은 도움 되셔서...
다운받으셔서 음계는 손으로 그려넣으시길....
1. 진양조
진양은 판소리 및 산조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이다....
다.... 즐건하루 되세요~~~~~판소리장단연구(국악학과) , [국악] 판소리 장단 정리인문사회레포트 ,
악보는 오선만 그려놨습니다.
진양이 판소리 밖에서 쓰이는 용례에는 산조와 육자백이가 있따 산조는 판소리 가락을 기악화한 것이라고 생각되므로 주목되는 것은 육자백이다.
1-1. 대목
수궁가 중 토끼업고 세상에 나오는 대목, 심청가 중 범피중류·추월만정 대목, 적벽가 중 삼고초려 대목, 춘향가에서 적성가긴·사랑가 등이 있따
1-2. 박자 (♩×6×4)
진양은 1각이 6각이며, 4각 한 장단으로 24각이 되는데, 기본박은 한각 6박이다.
악보는 오선만 그려놨습니다...
설명
글자는 10포인트 입니다... 많은 도움 되셔서... A+받으시길 바랍니다. 육자백이의 한 악절은 대개 진양 4각으로 24박에 맞는다.
『조선창극사』에는 진양이 김성옥이 처음 발견한 것이라 하는데, 이 말이 맞는지, 혹은 딴 악곡에 쓰이던 것을 김성옥이 판소리에 처음 적용한 것인지 알 길이 없다. ‘자진 진양’은 ‘세마치’라고도 한다... 편집능력의 한계로인해서....ㅠㅠ 다운받으셔서 음계는 손으로 그려넣으시길.... 글자는 10포인트 입니다. 그러나…(To be continued )
A+받으시길 바랍니다. 육자백이가 전라도 대표적인 민요로 꼽히며, 전라도와 그 인접지역에서 예부터 널리 불리워지던 것이므로 진양은 육자백이에서 나왔다고 짐작된다
진양의 종류는 ‘느린 진양’ ‘진양’ ‘자진 진양’으로 분류되는데 진양을 중심으로 늦거나 빠르거나, 속도에 따라서 구별될 뿐 박수는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