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1 09:01
본문
Download :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hwp
부定義(정이) 부사 ‘안’이 확인 의문으로 쓰이는 수가 있다 이 ‘안’은 어절 뒤에 나타나며 한 문장내에서 여러 번 쓰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추定義(정이) 뜻을 갖는 중앙어의 ‘-겠-’은 이 방언에서는 ‘-겄-’으로 실현된다된다.과제-드라마방언[1][1] ,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hwp( 25 )
처리해야할문제-드라마방언[1][1]
,인문사회,레포트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
3)시제
시제는 현재의 표시로 쓰이는 ‘-느-’류가 대부분 소멸되었다는 점에 이방언의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 소멸은 ‘있-’과 그것의 대립어‘없-’그리고 역싸적으로 ‘있-’에서 기원한 선어말 어미‘-았-’과 ‘-겄-’등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았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5) 보조 동사
중앙어의 ‘버리다’는 남부 서남 방언에서 ‘버리-’,‘부리-’‘~불-’,‘뿌리~’ ‘삐리-’등의 방언형을 보이는데, 그 쓰임의 빈도가 표준어에 비해…(생략(省略))
다. 이것과 똑같은 것으로 ‘알도 몰르다’의 부정도 마찬가지로 이 방언에 나타난다.
4)부정법
어휘적으로 흥이 있는 부정 표현으로서는 ‘있-’과 ‘몰르-’의 부정을 들 수 있다 ‘-’은 물론 부정어‘안’이 앞서 ‘안 있다’와 같은 표현을 만들 수도 있고, ‘있도 안해’와 같은 통사적 부정도 가능하나, 이 외에 ‘있도 없다’와 같은 이색적인 부정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