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中國)어 역외방언의 한국어에서의 활용 및 change(변화)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2 14:14
본문
Download : 중국어역외방언의한국어활용.hwp
(王力, 1984, P188)
중국(中國)어 역외방언의 한국어에서의 활용 및 change(변화)연구
일명 中國에서 넘어 온 외래방언이라고도 불리는 中國어 역외방언(Sinoxenic dialects)은 현재도 한국, 일본과 베트남 등 언어에 깊이 뿌리를 박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전문용어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은 약 기원 600년 전에 中國어의 중고음에 해당되는 어음과 문자를 차용하였다. (Jerry Norman, 1988:21-22)
순서
수세기를 거쳐 한국어는 글말 표기법의 정규 수단으로 中國의 것을 빌어 써오고 있고 이에 대한 한국 지식계층의 일상적인 친숙성은 한국 고유의 언어가 거의 과소평가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친 적도 있다(Jerry Norman著. 1996. 40).
中國어의 입장에서 볼 때, 이들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 어휘들은 中國 지역을 벗어나 中國어 발음과는 달리 각 나라의 고유 언어 관습에 맞추어 中國어 특유의 변이음을 적절히 수정하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역외방언이라 칭한다.
Download : 중국어역외방언의한국어활용.hwp( 62 )
1. 서론
2. 中國어와 역외방언 - 한국 한자어의 의미, 용법차이 및 대비유형
역외방언 중국어 한국한자어 용법차이 고유언어관습 / ()
역외방언 중국어 한국한자어 용법차이 고유언어관습
역외방언 중국(中國)어 한국한자어 용법차이 고유언어관습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어떠한 언어든지 그 어휘부는 음운부나 통사부와 달리 외래적 요소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에 해당된다된다. 한국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中國과의 긴밀한 文化(culture) 적 접촉 과정을 통해 한자의 차용과 더불어 거기에 수반된 어휘의 도입이 대량으로 이루어졌다(金光海, 1989, 1).
1. 서론
한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주변 국가들은 中國과의 수세기의 文化(culture) 교류를 통해 글말표기 수단으로 中國어의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하였다.
설명
참고한 문헌
3. 결론





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中國어 글말의 문자와 그 독음을 통째로 차용한 예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