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선사文化- 암각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9 00:14
본문
Download : 한국의 선사문화- 암각화.hwp
암각 , 한국의 선사문화- 암각화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의 선사文化- 암각화
설명
순서
Download : 한국의 선사문화- 암각화.hwp( 20 )
본 자료(資料)는 선사文化중의 하나인 암각화, 거기서도 한국 암각화의 내용과 그 안에 담겨진 신앙과 사회구조등을 조사한 리포트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본 자료는 선사문화중의 하나인 암각화, 거기서도 한국 암각화의 내용과 그 안에 담겨진 신앙과 사회구조등을 조사한 리포트입니다.
[분포] 한국의 암각화는 모두 새겨진 것이며 한반도의 동남부에…(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다. 특히 칠포리를 중신으로 영천 보성리, 영주 가흥동 등지에서 발견된 다양한 인면 도형들은 한국 암각화 연구의 중심을 울산 대곡리의 동물 암각에서 인면 암각으로 옮기게 하였으며 말굽형 도형이 주된 암각으로 알려진 안동 수곡리 유적은 암각화가 새겨진 암면의 특이한 형태로 고대 제의의 한 구체적 형태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80년대에 들어오면서 그때까지 미미하게 알려지고 있던 중국(中國)의 암각화에 대한 조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자 시베리아 연해주지역과 단선적으로 연결되어지던 것에 중국(中國)이라는 새로운 대상이 추가되게 되었다.
암각
[원류] 1980년대 후반 이후 경북 일원에서 새로운 암각화 유적들이 발견되면서 한국 암각화의 연구 環境이 크게 變化되었다. 특히 중국(中國) 북부지역의 내이멍꾸의 인산 산맥일대와 우란차부 초원지대의 암각화들은 기법면에서나 형태 및 내용면에서 한국의 암각화들과는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아
따라서 한국 암각화는 이제 시베리아와 연해주 위주의 연구에서 중국(中國)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 전 지역 속에서 바라보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