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주파수 대역은 `기회의 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6 14:40
본문
Download : 20060515.jpg
유럽은 휴대폰 적용기술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추진중이다.
新주파수 대역은 `기회의 땅`
설명
순서
업계에서는 엔알디테크·코모텍·밀리시스 등 밀리미터파 송수신기 개발업체들이 이미 광대역 무선송수신장비 개발을 완료하고 정부의 주파수 분배 고시를 기다리고 있다 이들 기업은 이미 2∼3년 전부터 日本 ·china·미국 등 해외 시장에 장비를 지속적으로 수출하고 있다





新주파수 대역은 `기회의 땅`
정통부는 처음 시도하는 FACS 事例인만큼 초기에 시장이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가 보유한 측정(measurement)기기를 중소기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지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주파수대역 3.1G∼4.8㎓, 7.2∼10.2㎓ 57G∼64㎓
특징 10m내 100Mbps 전송 가능 높은 주파수 대역 1 이상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 제공
사용처 무선홈네트워크 도서통신·ITS노변통신·빌딩간 사내통신 등
Download : 20060515.jpg( 13 )
정통부가 연내 주파수를 분배하기로 결정한만큼 상용장비 출시를 위한 관련장비 및 시스템 모듈 업체의 움직임도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상용화 예상시기인 오는 2008년에 맞춰 1Mbps급 칩 개발도 진행중이다. 주상돈·신혜선기자@전자신문, sdjoo·shinhs@
시장규모(예상) 2010년 3200억원(칩기준) 2007∼2017년 1000억원(장비기준)
구분 UWB 밀리미터파
◇용도미지정(FACS) 60㎓ 대역은 아이디어로 승부 = 밀리미터파 대역의 주파수 분배는 UWB보다 시장성이 한발 더 가깝게 와 있다 우리나라에서 서비스(용도)와 기술을 지정하지 않고 주파수를 분배하는 첫 事例인 밀리미터파 기반 비즈니스는 그야말로 아이디어 경쟁의 장이 될 전망이다. TV-오디오, PC-주변기기, PC-휴대폰 등 기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유선 네트워크가 필요한데, 이를 무선으로 대체해 선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것. 예컨대 디지털카메라에 저장된 사진을 PC로 옮기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필요하지만 UWB환경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어진다. 기업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어떤 서비스든 발굴해 제공하면 그만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난해 말 200Mbps급 UWB 칩을 개발, 디지털TV에 시범 적용한 바 있다 현재는 600Mbps급 칩을 2단계에 걸쳐 개발중이다. 정통부는 연내 UWB사업을 위한 주파수를 분배(3.1∼4.8㎓, 7.2∼10.2㎓)할 계획이다. 또 60㎓ 대역에 이어 추가 FACS 주파수 대역도 계속 발굴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UWB의 시장성은 이미 디지털기기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상용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외국에서 입증되고 있다
다. 이 가운데 UWB는 future 유비쿼터스 사회의 근간인 ‘선 없는 생활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무선 범용직렬버스(USB)’ 개발을 추진중이다.
◇UWB, 가정내 유선을 걷어낸다 = UWB는 약 10m 내외에서 100Mbps급 이상의 초고속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근거리 고속 무선통신기술이다. 밀리미터파는 고속데이터 통신은 가능하되 전파가 멀리 가지 않는다는 property(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건물 안, 지능형교통시스템(ITS) 기반 노변통신, 대학 캠퍼스 등 점대점(P2P) 고정통신의 백본망으로 활용가치가 높다.
인력양성2003∼2011년 64억원 지원 -
시장現況 삼성전자·LG전자 무선USB 개발중 엘알디테크·코모텍 등 송수신기 개발 및 수출
新주파수 대역은 `기회의 땅`
新주파수 대역은 `기회의 땅`
정부 지원 現況 기술개발 2003∼2008년 211억원 지원 2003∼2005년 150억원 지원
정부의 전파정책이 규제(통제) 기반에서 이용자와 시장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새로 분배되는 주파수 대역이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다
레포트 > 기타
UWB와 밀리미터파 비교
미국은 지난 2004년 상업용 기술개발을 완료했고 日本 은 가전분야 응용기술이 상용화됐다.
정보통신부가 연내 새로 분배할 대표적인 주파수 대역은 무선 홈네트워크용 ‘초광대역무선통신(UWB)’과 고정·광대역통신용 ‘밀리미터파’ 대역 두 가지. 특히 이들 대역에서 구현 가능한 사업모델은 대형 통신사보다는 중소 통신장비 및 단말기제조사를 비롯, 시스템모듈 분야 전문업체들에 더욱 적합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