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학기 기초한자 기말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4 04:59
본문
Download : 20131기말_중문일본1_기초한자.pdf
② 결승(結繩) 기원설
제2과 유의자와 유의어
- 위쪽이 형부, 아래쪽이 성부인 경우(上形下聲): 露(로), 花(화), 筍(순), 筒(통)
- 왼쪽이 형부, 오른쪽이 성부인 경우(左形右聲): 橋(교), 抱(포), 飯(반), 哺(포)
① 암화(巖畵) 기원설
제1과 생활성어
(2) 도화 기원설
제2과 사자성어
설명
- 결승은 문자의 탄생 이전에는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기사(記事)의 기능을 함
- 암화는 도형을 통해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 후대의 한자 형성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최소한 상형자의 형성에 촉진작용을 했다고 할 수 있음
2. 한자의 구성원리
- 오른쪽이 형부, 왼쪽이 성부인 경우(右形左聲): 期(기), 鄲(단), 削(삭), 飄(표)





- 1950년대 앙소culture의 유적지 섬서 서안의 반파촌에서 113개의 도기부호(陶符)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의식적으로 새겼다는 뜻으로 기사(記事)의 기능이 있음을 말하는 것
- 안쪽이 형부, 바깥쪽이 성부인 경우(內形外聲): 問(문), 聞(문), 悶(민), 辨(변)
- 중 략 -
- 고대의 암화는 독음(讀音)이 없기 때문에 언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의사전달의 기능도 없기 때문에 문자라고 할 수 없음
② 도부(陶符) 기원설
제3부 성어 익히기
- 암화는 인류 최고(最古)의 회화형식으로 고대인의 노동생활과 사회 모습을 재현한 것이 많음
③ 어떤 사물의 모양을 직접 본떠 만든 상형자(日(해), 月(달), 山(산) 등)와 추상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지사자(一(하나), 二(둘), 三(셋) 등)가 대부분
2013년 1학기 기초한자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1과 상대자와 상대어
1. 한자의 기원
①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형(形)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글자
제1부 한자의 이해 제1과 한자의 기원과 구성원리 제2과 한자의 특성 제3과 부수의 이해 제2부 한자 익히기 제1과 상대자와 상대어 제2과 유의자와 유의어 제3과 비슷한 모양의 한자 익히기 제4과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익히기 제5과 동자이음(同字異音)한자 익히기 제3부 성어 익히기 제1과 생활성어 제2과 사자성어 제3과 고사성어 - 각 과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제1과 한자의 기원과 구성원리
제1부 한자의 이해
② 한 개의 획이나 혹은 수 십 개의 획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음
- 결승: 새끼줄을 매듭지어 의사표시를 하는 것
- 산동성 거현 등지에서 발굴된 대문구(大汶口)의 culture유적에서 발굴된 도기에는 부호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갑골문과 흡사
제3과 고사성어
제4과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익히기
제2과 한자의 특성
제3과 부수의 이해
제2부 한자 익히기
제1부 한자의 이해
순서
② 뜻과 뜻 부분을 합하여 만든 회의자와 뜻과 발음부분을 합하여 만든 형성자가 있음
제5과 동자이음(同字異音)한자 익히기
- 바깥쪽이 형부, 안쪽이 성부인 경우(外形內聲): 病(병), 府(부), 圓(원), 圍(위)
(2) 합체자의 구성원리
방송통신 > 기말시험
- 아래쪽이 형부, 위쪽이 성부인 경우(下形上聲): 想(상), 煮(자), 盲(맹), 盒(합)
제3과 비슷한 모양의 한자 익히기
①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한 개의 형(形)으로 이루어진 글자
- 각 과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제1과 한자의 기원과 구성원리
(1) 독체자의 구성원리
(1) 고대의 전설
① 복희팔괘(伏羲八卦) 기원설: 복희씨는 삼황오제(三皇五帝)로 칭송되는 삼황 중의 한 분으로 인간에게 수렵과 목축을 가르치고 문자의 시원인 팔괘(‘─(양)과 ’--(음)’의 부호)를 그렸다고 전해짐
방통대,방송대,기말시험,방통대기말시험,방송대기말시험,방송통신대기말시험,기초한자,기초한자기말,기초한자,일본기초한자시험,중문기초한자시험
③ 형성자의 ‘형부’와 ‘성부’의 조합방법
Download : 20131기말_중문일본1_기초한자.pdf( 45 )
③ 창힐(倉頡) 조자설(造字說): 황제의 사관 창힐이 문자를 창조했다는 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