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01:01
본문
Download :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hwp
한국사상 ,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감상서평레포트 ,
동인은 이황과 조식, 서경덕의 학문을 계승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신진 세력들이 참여하여 먼저 붕당의 형세를 이루었다. 동인과 서인이 나뉘고 난 후 처음에는 동인이 우세한 가운데 정국이 운영되었다. 그러나 현종 때에 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두 차례(次例)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1차 예송 당시에는 정치적 실권을 쥐고 있던 서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결국 영조 때에 소론이 밀려나고 노론이 정국을 주도하게 된다 노론은 다시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싸고 온건파인 시파와 강경파인 벽파로 나뉘게 된다
이렇게 나눠진 남인과 노론은 원래 같은 사림으로 그 뿌리가 같다.
Download :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hwp( 24 )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에 대한 글입니다.
처음의 서인과 남인은 모두 학파적 결속을 확고히 한 정파들이었다. 반면에 서인은 이이와 성혼의 문인들이 가담함으로써 비로서 붕당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반정을 주도한 서인은 남인의 일부와 연합하여 정국을 운영해 나갔다.
,감상서평,레포트





한국사상
순서
레포트/감상서평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에 대한 글입니다. 이후 현종 때까지는 서인이 우세한 가운데 남인과 연합하는 구도가 유지되었다. 광해군과 북인은 서인이 주도한 인조반정으로 몰락하게 된다 인조반정 이후 붕당정치는 더욱 진전되었다. 이러한 남인 우세의 정치는 숙종 초 경신환국이 일어나기 까지 유지되었다. 정몽주, 길재, 김종직으로 계속 이어져 오다가 이황과 이이를 …(skip)
설명
『영원한 제국』을 통해서 본 남인과 노론
다. 동인은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온건파인 남인과 급진파인 북인으로 갈리게 된다 처음에는 남인이 정국을 쥐게 되었으나 임진왜란이 끝난 뒤 북인이 집권하여 광해군 때까지 정국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2차 예송에서는 꾸준히 세력을 키워온 남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서인이 약화되고 남인 중심의 정국이 운영되었다. 광해군의 지지 세력인 북인은 남인과 서인을 배제한 채 정권을 독점하려 하였다. 경신환국 뒤 남인이 정계에서 완전히 밀려난 후 서인 사이에서 노장세력과 신진세력 사이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상대의 학문적 입장을 인정하는 토대 위에서 상호 비판적 공조체제를 이루어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