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무선통신망 特性과 통신망 연동 measure(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10:08
본문
Download : ITS무선통신망 특성과 통신망 연동 방안.hwp
본 논문은 다양한 ITS 서비스를 다양한 통신망에서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연동 방법 연구에 관한 것으로, ITS 서비스 요구사항과 무선통신망의 characteristic(특성)을 analysis하여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정립하고 이를 근거로 통신망 연동 방법을 도출하였다. 특히 차량과 교통 기반 시설들을 연계시켜주는 유무선 통신망은 시스템의 안정도와 서비스의 성공적인 제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고, ITS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시스템 요구사항이 다르므로 다양한 통신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각 통신방식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1. 개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은 기존의 도로 체계에 정보통신 기술과 자동차 제어 기술을 도입하여 교통 체계의 효율성과 안정성 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ITS 아키텍쳐에서 구현의 1순위로 제시한 6가지의 ITS 서비스에 대한 요구 사항을 analysis하고, 현재 또는 근 미래에 사용될 무선 통신방식에 대한 characteristic(특성)을 analysis하여 각 서비스별 사용 가능한 유무선 통신방식을 도출하였다.
1.1. ITS 서브 시스템의 구성
ITS 아키텍쳐에서 ITS 시스템은 크게 아래의 4가지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된다[1,2].
-여행자 서브 시스템 : 키오스크나 개인용 단말을 통해 정보 제공
-센터 서브 시스템 : 공공 및 민간 관리기관에서 역할 수행
-노변 서브 시스템 : 노변에 설치되는 센서나 신호기, 가변 정보판 등의 차량이나 여행자와 관계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
-차량 서브 시스템 : …(省略)






ITS무선통신망 特性과 통신망 연동 measure(방안)
순서
다.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본 자료는 ITS(지능형 교통시스템)무선통신망 특성과 통신망 연동 방안에 대해 연구부석한 보고서입니다.upITS지능형교통시스템무선통신망특성과통신망연동방안 , ITS무선통신망 특성과 통신망 연동 방안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1. 개요
1.1. ITS 서브 시스템의 구성
1.2. ITS 통신 방식
1.3. ITS 통신 시스템 요구사항
1.4. ITS 서비스별 통신 기능 요구사항
2. ITS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망 characteristic(특성) analysis
2.1.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2.2. 셀룰라/PCS/IMT-2000
3. ITS 통신망 플랫폼 기초 설계
3.1. ITS 서비스별 통신 기능 요구사항 analysis
3.2. ITS 서비스 별 통신망 활용 방법
3.3. ITS 통신망 참조 모델
3.4. ITS 서비스별 통신망 연동 방법
요약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은 기존의 도로 체계에 정보통신 기술과 자동차 제어 기술을 도입하여 교통 체계의 효율성과 안정성 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Download : ITS무선통신망 특성과 통신망 연동 방안.hwp( 75 )
upITS지능형교통시스템무선통신망特性과통신망연동measure(방안)
본 자료(資料)는 ITS(지능형 교통시스템)무선통신망 特性과 통신망 연동 measure(방안) 에 대해 연구부석한 보고서입니다. 그러나 각각의 ITS 서비스 시스템이 따로 구축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나 특정 통신망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통신망 사이의 효율적인 연동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