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의 원칙 theory 과 관련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1 20:21
본문
Download : 실효의 원칙 이론과 관련판례.hwp
1. 인정여부
비록 행정사건이기는 하지만 1998년에 이 법리를 인정하는 최초의 판결(87누915)을 내린 후에 지금은 확립된 법리를 형성하고 있다 즉 다른 직원이 승소판결을 받음으로써 해고가 무효라는 점을 알았음에도 무려 2년 4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당해 근로자가 해고의 무효를 다투는 것은 실효의 원칙에 비추어 허용될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91다3xxx8).
2. 인정되는 분야
판례는 ‘고용관계의 존부’를 둘러싼 노동분쟁에서 실효의 원칙을 다른 법률관계에서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원용하고 있다 이는 경제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여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물론, 임금 수입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노동자의 입장에서도 ‘법률관계의 조속한 확정’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이다(91다3xxx8).
Download : 실효의 원칙 이론과 관련판례.hwp( 61 )






다.
[민법]실효의원칙theory 과관련판례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설명
실효의 원칙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관련판례들을 다수 들어 그 객관성을 높인 글입니다.[민법]실효의원칙이론과관련판례 , 실효의 원칙 이론과 관련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실효의 원칙 theory 과 관련판례
실효의 원칙에 관한 theory 을 정리(arrangement)하고 관련판례들을 다수 들어 그 객관성을 높인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