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3 19:49
본문
Download :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hwp
특히 절대평가 실시와 관련하여 외재적인 기준의 개발은 필요하다. 국외의 경우 Harris와 Carr(1996)은 standard를 사용하고 있따 이 연구에서는 후자를 따르기로 한다.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에 대한 논의에 앞서 먼저 간단히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당 교과의 교수-학습 장면에서, 특definition 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이 도달하고 수행해 주기를 바라는 지식, 기능, 태도 등과 관련하여 명료화된 행동 property(특성)에 대한 진술을 뜻한다. 기준은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따
먼저 성취기준(standard)은 성취기준에 대한 영어 용어로 standard, benchmark, achievement standard 등 여럿이 사용되고 있따 외국의 서적들도 이에 대해 아직 통일이 되지 않은 듯 하다. 기준 지향(standard ...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레포트/사범교육
Download :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hwp( 14 )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에 대한 논의에 앞서 먼저 간단히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관념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따 기준 지향(standard based) 교수-학습과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분명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기준 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준 지향(standard ... , 읽기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사범교육레포트 ,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다. 이는 아동에 대하여 교육적으로 가치 있게 기대할 만한 명료한 행동 property(특성)이면서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과정…(drop)
순서






평가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에 대한 논의에 앞서 먼저 간단히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내의 경우 백순근 등(1998)에서는 achievement standard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