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7 03:41
본문
Download : 실학에 관한 고찰.hwp
(2)지리 분야
조선 후기에 서양 선교사가 만든 《곤여만국전도》 같은 세계 지도가 中國을 통하여 전해짐으로써 지리학에서도 보다 과학적이고 정밀한 지식을 가지게 되었고, 지도 제작에서도 더 정확한 지도가 만들어졌다. 한치윤은 《해동history(역사) 》를 편찬하여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 데 이바지하였다. history(역사) 지리서로는 유득공의 《사군지(四郡志)》, 한백겸의 《…(drop)
실학에 관한 고찰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실학에 관한 고찰●실학 , 실학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다. 정상기의 《동국지도》 및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권상기(權尙驥)의 《팔도분도(八道分圖)》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을 지어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다. 이종휘의 고구려사 연구와 유득공의 《발해고》 저술은 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긍익은 조선 시대의 정치와 문화를 요약한 《연려실기술》을 저술하였다.실학에 관한 고찰






레포트/인문사회
●실학
Download : 실학에 관한 고찰.hwp( 75 )
●influence(영향)
1. 국학의 발달
실학의 발달과 함께 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우리의 history(역사) , 지리, 국어 등을 연구하는 국학이 발달하였다
(1)history(역사) 분야
이익의 제자 안정복은 우리 시각의 history(역사) 관을 반영한 강목체 형식의 history(역사) 서《동사강목》을 저술했고, 그밖에 《열조통기(列朝通紀)》를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