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론을 위한 각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4 02:03
본문
Download : 혼불론을 위한 각서.hwp
혼신의 힘을 다했으므로 순명이라 하겠으나, 우리로서는 그이의 때이른 운명이 애석하지 ...
『혼불』의 작가 최명희를 잃은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혼신의 힘을 다했으므로 순명이라 하겠으나, 우리로서는 그이의 때이른 운명이 애석하지 ... , 혼불론을 위한 각서서평서평감상 ,
,서평,서평감상
혼불론을 위한 각서
순서
다.
96년 12월, 전10권으로 『혼불』이 발간되었을 때, 우리 문단은 그 완간을 기대하며 상당히 들떠 있었던 것으로 기억된다된다. 그러나 그의 작품론이 이 이론(理論)의 정체를 명료하게 드러내지 못한 점, <작품 자체>를 강조하는 입론이면서도 작품의 특성(特性)이 작가의식에서 비롯된다거나 논의 도중에 미리 작가의 <철저한 사상>을 언급한 것은 다소 아쉽다. 사족에 불과하겠지만, 비평적 균형감각으로 보아, 『혼불』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백지연의 <핏줄의 서사, 혼 찾기의 지난함>(…(To be continued )
서평감상/서평
Download : 혼불론을 위한 각서.hwp( 41 )
설명
『혼불』의 작가 최명희를 잃은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혼불』의 작가 최명희를 잃은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혼신의 힘을 다했으므로 순명이라 하겠으나, 우리로서는 그이의 때이른 운명이 애석하지 않을 수 없고, 이제 『혼불』은 그 미완의 완결이라는 역설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완결되기 이전의 『혼불』 논의는 모두 잠정성을 면하기 어려운 탓이다. 평론가 김헌선이 기왕의 논의가 <찬미>와 <폄하>로 양극화되고 있음에 상당한 우려를 표명한 것도 이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김헌선, <《魂불》, 우주적 상상력의 총화>(《문학사상》97년 12월호) 참조.<《혼불》자체가 이론(理論)의 원천>이라는 김헌선의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