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7 03:13
본문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생활4_가족상담및치료.pdf
- 개인의 부適應과 심리 장애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관계의 문제, 체계의 역기능에서 비롯되는 문제로 보기 처음 함
2) 심리치료 영역
① 1950년대 중반까지 심리치료사들은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가족으로부터 격리시켜 개인 치료를 함. 심리치료 자체가 개인의 심리문제는 다른 사람과의 건강하지 않은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며,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사적인 관계에서 가장 잘 완화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기 때문임
④ 체계理論(이론)의 명제는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이며, 한 하위체계의 變化는 다른 하위체계의 變化를 유발하기도 變化시키기도 한다고 봄. 체계란 environment(환경) 의 變化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살아 있는 조직을 의미함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⑤ 로저스는 치료상황에서 내담자가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을 목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부인하거나 왜곡하지 않도록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가족원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을 치료에 포함시키지 않아야 한다고 봄
제2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제13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개입기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② 20세기 중반에 가장 influence력 있던 심리치료는 정신분석치료와 내담자중심치료임
① 가족치료 관점에 influence을 미친 그 밖의 운동으로는 소집단 역동성, 아동지도운동, 社會福祉士실습, 부부 상담 등을 들 수 있음
순서
⑤ 체계理論(이론)이 정신건강 분야에 도입되면서 나타난 시각 變化
제2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③ 정신분석을 주창한 프로이트는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는 원가족에서의 신경증적 갈등과 파괴적인 상호작용 때문에 나타난다고 봄. 따라서 가장 효율적인 치료는 유해한 가족environment(환경) 으로부터 환자를 격리시키는 것이라고 믿음
④ 내담자중심치료는 치료자인 로저스는 자아실현을 지향하는 인간의 타고난 성향이 불행히도 environment(환경) 의 influence으로 인해 왜곡된다고 봄
- 통합적인 것, 관계적인 것, 주관적인 의미를 강조하고 ’지금-여기‘에 초점을 둠
- 중략 -
① 가족치료의 도입에 절대적인 influence을 미친 것은 1940년대에 紹介(소개)된 베르탈란피의 체계理論(이론)임
3) 그 외 가족치료 관점에 influence을 미친 운동
③ 한 체계가 environment(환경) 속에서 스스로 조정하고 규제하는 과정을 ‘사이버네틱스, 즉 인공두뇌학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온도조절장치와 같은 피드백지제임, 이것이 확대되면 체계의 변형이 가능해짐
제13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개입기술
제2장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 Cause -결과라는 직선적 인과론 대신에 상호의존적이고 공동책임을 지는 순환적 인과론을 지지함
가족상담및치료,방통대가족상담및치료,방송대가족상담및치료,가족상담및치료시험,가족상담및치료요약,가족상담및치료출석수업대체





③ 아동지도운동은 아동의 권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 20세기 초에 처음 되며 점차 아동의 실제 문제는 아동이 보이는 증상이 아니라 이러한 증상의 Cause 이 되는 가족 내 긴장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면서, 아동의 증상을 유발하는 사회적, 가정적 요인에 관심을 갖게 됨
설명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⑥ 개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는 내담자에게 안정된 environment(환경) 을 제공함으로써 가족 배경과 개인의 성격 및 무의식, 과거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전제함
Download : 20212_출석대체_생활4_가족상담및치료.pdf( 48 )
1) 체계理論(이론)의 도입
1. 서양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 미국을 중심으로
2021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출석수업대체시험 point체크
② 체계理論(이론)이란 여러 하위체계와 상위체계의 관계를 밝혀내고 조직화의 유형을 파악하는 理論(이론)임
② 소집단 역동성은 인간의 행동을 개인의 현재 상황, 즉 장과의 관계로 說明(설명) 하는 장理論(이론)의 기초를 두고 있음
- 문제의 이유에 대해 질문하기보다는 관계유형을 說明(설명) 할 수 있는 사실과 상황의 진행에 관하여 질문함
다.